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브렉시트 현실화? 40% 개표현재 '탈퇴'가 2.4%P 우세

브렉시트 현실화 가능성에 세계 금융시장 패닉

영국의 유럽연합(EU) 잔류와 탈퇴를 묻는 국민투표의 초반 개표에서 결과를 예측할 수 없는 초접전이 벌어지고 있다.

24일 새벽 3시 30분(현지시간·한국시간 오전 11시 30분) 현재 총 382개 개표센터 가운데 170개 센터의 개표 결과가 발표된 가운데 탈퇴와 잔류가 각각 51.2%, 48.8%로 탈퇴가 2.4% 포인트 앞서고 있다.

양쪽의 차이가 근소해 각 개표센터의 결과가 추가로 나올 때마다 잔류와 탈퇴의 우위가 바뀌며 엎치락뒤치락하고 있다.

새벽 2시(한국시간 오전 10시) 탈퇴가 6% 포인트 우세한 것으로 격차가 벌어졌다가 20여 분 만에 다시 잔류가 2% 포인트가량 우세한 것으로 뒤집혔고 1시간이 채 지나지 않아 다시 탈퇴 우위로 역전돼 1∼2%포인트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전체 382개 개표센터 가운데 현재까지 발표한 평균 투표율은 70.4%다. 한국시간으로 오전 11시 30분 현재까지 1천300만표(40%) 정도가 개표됐다.

개표가 중반으로 접어들면서 지역별 격차는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 55% 정도로 탈퇴가 우세한 반면, 스코틀랜드와 북아일랜드에서는 잔류가 55∼60%로 우세하다.

총 382개 투표센터 가운데 잉글랜드의 투표센터가 320여 개로 가장 많다. 북아일랜드는 실제 개표는 8곳에서 이뤄지지만 공식 결과는 1개 센터로 통합해 발표된다. 이 때문에 영국 각 매체는 북아일랜드 일부 지역 결과를 반영한 개표 현황을 전하고 있다.

개표 지역 중 투표자 수가 많은 곳 중 하나인 잉글랜드 뉴캐슬(12만9천2명 투표)에서는 잔류가 50.7%, 탈퇴가 49.3%로 차이가 근소했고, 잉글랜드 스윈던(11만2천965명)과 베리(10만1천28명)에서는 탈퇴가 각각 54.7%, 54.1%로 잔류에 앞섰다.

잉글랜드 선덜랜드에서는 13만4천324명이 투표한 가운데 탈퇴가 61.3%, 10만415명이 투표한 잉글랜드 스톡턴온티스에서는 61.7%가 탈퇴에 투표해 격차가 더 컸다.

반면 런던 이즐링턴(1만1천600명)에서는 잔류가 75.2%, 세인트 알번스(8만6천445명)에서는 잔류가 62.71% 각각 앞섰다.

스코틀랜드 애버딘(10만4천714명)에서는 61.1%가, 던디(6만6천385명)에서는 59.8%가 잔류를 택했으며 북아일랜드 포일에서는 투표한 4만969명 가운데 78.3%가 압도적으로 잔류를 선택했다.

등록 유권자 4천650만 명이 참여한 이번 국민투표는 23일 오전 7시부터 오후 10시까지(한국시간 23일 오후 3시부터 24일 오전 6시까지) 영국 전역에서 실시됐다. 최종 개표 결과는 24일 오전 7시(현지시간·한국시간 오후 3시)께 발표될 것으로 예상된다.

여론조사 전문가인 존 커티스 스트래스클라이드대 정치학 교수는 BBC에 "이번 투표 투표율이 72%일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 경우 한쪽이 투표에서 승리하려면 1천641만 표를 확보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당초 여론조사기관 유고브가 투표 당일에 사전에 명단을 확보한 투표자들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에서는 EU 잔류가 52%, EU 탈퇴가 48%로 예측됐지만 초반 개표 결과로는 최종 결과를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영국 최대 베팅업체 베트페어에서 제시한 탈퇴 가능성은 24일 새벽 현재 51%까지 올라갔다.

베팅정보사이트 '오즈체커'의 실시간 집계에 따르면 이날 현재 투표 결과를 알아맞히는 종목을 개설한 업체 11곳 가운데 9곳이 잔류보다 탈퇴 배당률(수익률)을 낮게 책정했다. 베팅업체들이 탈퇴보다 잔류의 실현 가능성을 낮게 본다는 것을 의미한다.

앞서 도박사들이 투표 직전에 잔류 가능성을 86%까지 점쳤던 것에서 급격하게 예상을 뒤집은 것이다.

커티스 교수는 인구가 많고 개표 결과가 먼저 나온 곳 중 하나인 뉴캐슬에서 탈퇴가 우세한 결과가 나왔을 때 BBC에 "오늘 밤 (선거 여론조사) 전문가들이 망신을 살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며 "여론조사에서만큼 '잔류' 진영이 잘 되지 않을 첫 번째 징후가 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댓글이 1 개 있습니다.

  • 4 0
    한심이

    우리나라도 창조경제가 구약성서의 표절이다 이걸갖고 찬반에.......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