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역시 독재정권 후예”
“정치관계법 개정안, 발상 자체가 놀라울 뿐”
한나라당의 정치관계법 개정안에 대해 각 정당이 거듭 맹비난을 퍼부었다.
유종필 민주당 대변인은 19일 국회 현안 브리핑에서 “한나라당의 정치관계법 개정안 제출은 언론의 자유, 표현의 자유, 국민의 알 권리 등 헌법상 모든 기본권마저 제한하는 독재적인 발상”이라며 “독재정권의 후예라는 씻을 수 없는 한나라당의 정체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비판했다.
유 대변인은 “법과 인권위에 군림하고 국민의 자유에 대해서는 아무런 관심도 없다는 한나라당 수준을 노출시킨 것”이라며 “한나라당은 이러한 구시대적인 시대착오적 발상에 대해 국민들에게 사과하라”고 촉구했다.
정호진 민주노동당 부대변인도 “대권도전의 재수를 경험한 한나라당이 아직도 낙방의 교훈 찾지 못하는 것 같다”며 “국민적 상식과 헌법 흔드는 어처구니없는 초법적 발상은 군사정권, 독재정권 뿌리 두는 정체성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고 비판햇다.
정 부대변인은 “대선을 앞두고 국민이 바라는 것은 정책과 비전을 제대로 제시하라는 것”이라며 “지난 선거를 반면교사삼아 일반 민주주의를 무시하겠다는 발상은 집권으로 가는 보호막이 아니라 대선 사수에 도전하는 낙방의 지름길이다”라고 말했다.
이기우 열린우리당 공보담당 원내부대표는 “한나라당의 정치관계법 논란이 접입가경으로 치닫고 있다”며 “우리나라의 정치발전과 선거문화의 개선 취지는 찾아보기 힘들고 오로지 한나라당 후보의 유리한 상황만을 찾는 저차원 수준이 개정안을 계속 내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 부대표는 이어 “한나라당은 자신들의 두 차례의 실패를 모두 폭로와 인터넷, TV 등 남 탓으로 돌리고 있다”며 “계속해서 유신시대로 돌아가자는 이런 황당한 주장을 내놓으면 정치선거법 재개정 특위 구성 자체를 재논의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은 지난 17일 차기 대선을 앞두고 정치관계법을 정비하기 위해 정치관계법 재개정특위를 구성키로 합의한 바 있다.
유종필 민주당 대변인은 19일 국회 현안 브리핑에서 “한나라당의 정치관계법 개정안 제출은 언론의 자유, 표현의 자유, 국민의 알 권리 등 헌법상 모든 기본권마저 제한하는 독재적인 발상”이라며 “독재정권의 후예라는 씻을 수 없는 한나라당의 정체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비판했다.
유 대변인은 “법과 인권위에 군림하고 국민의 자유에 대해서는 아무런 관심도 없다는 한나라당 수준을 노출시킨 것”이라며 “한나라당은 이러한 구시대적인 시대착오적 발상에 대해 국민들에게 사과하라”고 촉구했다.
정호진 민주노동당 부대변인도 “대권도전의 재수를 경험한 한나라당이 아직도 낙방의 교훈 찾지 못하는 것 같다”며 “국민적 상식과 헌법 흔드는 어처구니없는 초법적 발상은 군사정권, 독재정권 뿌리 두는 정체성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고 비판햇다.
정 부대변인은 “대선을 앞두고 국민이 바라는 것은 정책과 비전을 제대로 제시하라는 것”이라며 “지난 선거를 반면교사삼아 일반 민주주의를 무시하겠다는 발상은 집권으로 가는 보호막이 아니라 대선 사수에 도전하는 낙방의 지름길이다”라고 말했다.
이기우 열린우리당 공보담당 원내부대표는 “한나라당의 정치관계법 논란이 접입가경으로 치닫고 있다”며 “우리나라의 정치발전과 선거문화의 개선 취지는 찾아보기 힘들고 오로지 한나라당 후보의 유리한 상황만을 찾는 저차원 수준이 개정안을 계속 내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 부대표는 이어 “한나라당은 자신들의 두 차례의 실패를 모두 폭로와 인터넷, TV 등 남 탓으로 돌리고 있다”며 “계속해서 유신시대로 돌아가자는 이런 황당한 주장을 내놓으면 정치선거법 재개정 특위 구성 자체를 재논의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은 지난 17일 차기 대선을 앞두고 정치관계법을 정비하기 위해 정치관계법 재개정특위를 구성키로 합의한 바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