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경선 룰’ 놓고 다음 주 ‘2차전’
이명박측 “수구적 태도로는 안돼”, 박근혜측 “이미 끝난 얘기”
재보선 참패 이후 당 내분 사태를 겪었던 한나라당이 잠시 휴전 상태를 보이다 다음 주 초 ‘경선 룰’ 문제로 2차전에 돌입할 전망이다.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는 3일 최고위에서 늦어도 다음 주 초까지는 경선 룰 문제를 매듭짓겠다고 공언했다. 그러나 결론이 어떻게 나든 양 진영의 전면전은 불가피해 보인다.
이명박 전 서울시장측 대리인을 맡고있는 박형준 의원은 이 날 본지와 통화에서 “대표께서 합리적으로 결정하리라고 믿는다”며 말을 아끼면서도 “당부하고 싶은 것은 이번 4.25재보선 참패의 원인을 잘 분석해 보라는 것”이라고 밝혔다.
박 의원은 “이번 재보선에서 당이 참패한 원인에는 무조건 당내 사정만 생각해 후보를 선출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라며 “민심은 당이 좀 더 국민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문을 개방하라고 이번 선거에서 교훈을 주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직접적으로 “경선 룰 문제에 있어 당원과 국민 참여 비율 5:5를 최대한 맞추는 것이 그같은 국민의 목소리에 다가가는 태도가 될 것”이라며 여론조사 비율을 4만명으로 고정하는 이 전 시장측의 입장을 대변했다.
그러나 박 전 대표측은 절대 수용 불가 입장을 밝히며, 동시에 현재의 혁신안을 만든 장본인이 다름아닌 박 의원이라는 점을 들어 이 전 시장측을 비판하고 있다.
박 의원은 이와관련 “그것은 달을 가리키는 데 손가락만 보는 태도”라며 “혁신위 상황하고 지금 대선 상황하고 상황이 같냐”고 반박했다. 그는 “상황이 달라졌으니 이렇게 논의를 계속하는 것이지 과거와 똑같다면 왜 이렇게 논쟁이 심하겠냐”며 “자꾸 과거를 들춰내 공격하는 그런 태도야 말로 수구적 자세”라고 박 전 대표측을 비판했다.
그는 그러면서도 ‘강 대표가 현행대로 여론조사 비율을 연동하기로 결정한다면 어떡할 것이냐’는 질문에 “예단해서 이러쿵 저러쿵 말하는 것은 강 대표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라고 말을 아꼈다.
반면 박 전 대표측은 경선 룰 문제에 대해 “이미 끝난 얘기”라는 입장이다.
최경환 의원은 본지와 통화에서 “이미 다 합의했고, 또 현행 당헌.당규에도 나와있는데 그걸 바꾸자는 것은 그야말로 어거지”라고 이 전 시장측 주장을 일축했다. 최 의원은 “혁신위 안을 만들 때 이명박 당시 서울시장과 손학규 지사까지 다 동의한 것은 어떻게 설명할 것이냐”며 “이제와서 바꾸자고 하니 이거야말로 어거지가 아니고 무엇이겠냐”고 거듭 이 전 시장측을 비판했다.
그는 이어 “자기들이 정말 민심과 당심에서 앞서고 있다는 소위 대세론을 주장한다면, 앞선 사람이 양보를 하는 게 순리이지, 어떻게 앞선 사람이 고집을 부리냐”고 이 전 시장측을 압박했다.
그는 강 대표의 내주 초 결정에 대해서도 “강 대표가 잘 알아서 하실 것”이라며 “만약 그 결정에 이 전 시장측이 반발한다면 그야말로 대안이 없다. 지도부는 그대로 밀고가면 된다”고 주장했다.
한편 4일 오후 서울 염창동 당사에서 이명박-박근혜-강재섭 ‘3자회동’을 놓고서는 양측 모두 “별다른 소득을 기대하지는 않는다”는 입장이다.
박 의원은 “내일 회동에 대해 특별히 준비할 것은 없다”며 “당 분열모드를 통합모드로 바꾸는 상징적 만남”이라고 애써 3자 회동에 별다른 의미를 부여하지 않았다. 최 의원 또한 “만나는 그 자체가 상징적인 것이지 거기서 무슨 구체적인 협상을 하겠냐”고 회동 의미를 축소했다.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는 3일 최고위에서 늦어도 다음 주 초까지는 경선 룰 문제를 매듭짓겠다고 공언했다. 그러나 결론이 어떻게 나든 양 진영의 전면전은 불가피해 보인다.
이명박 전 서울시장측 대리인을 맡고있는 박형준 의원은 이 날 본지와 통화에서 “대표께서 합리적으로 결정하리라고 믿는다”며 말을 아끼면서도 “당부하고 싶은 것은 이번 4.25재보선 참패의 원인을 잘 분석해 보라는 것”이라고 밝혔다.
박 의원은 “이번 재보선에서 당이 참패한 원인에는 무조건 당내 사정만 생각해 후보를 선출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라며 “민심은 당이 좀 더 국민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문을 개방하라고 이번 선거에서 교훈을 주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직접적으로 “경선 룰 문제에 있어 당원과 국민 참여 비율 5:5를 최대한 맞추는 것이 그같은 국민의 목소리에 다가가는 태도가 될 것”이라며 여론조사 비율을 4만명으로 고정하는 이 전 시장측의 입장을 대변했다.
그러나 박 전 대표측은 절대 수용 불가 입장을 밝히며, 동시에 현재의 혁신안을 만든 장본인이 다름아닌 박 의원이라는 점을 들어 이 전 시장측을 비판하고 있다.
박 의원은 이와관련 “그것은 달을 가리키는 데 손가락만 보는 태도”라며 “혁신위 상황하고 지금 대선 상황하고 상황이 같냐”고 반박했다. 그는 “상황이 달라졌으니 이렇게 논의를 계속하는 것이지 과거와 똑같다면 왜 이렇게 논쟁이 심하겠냐”며 “자꾸 과거를 들춰내 공격하는 그런 태도야 말로 수구적 자세”라고 박 전 대표측을 비판했다.
그는 그러면서도 ‘강 대표가 현행대로 여론조사 비율을 연동하기로 결정한다면 어떡할 것이냐’는 질문에 “예단해서 이러쿵 저러쿵 말하는 것은 강 대표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라고 말을 아꼈다.
반면 박 전 대표측은 경선 룰 문제에 대해 “이미 끝난 얘기”라는 입장이다.
최경환 의원은 본지와 통화에서 “이미 다 합의했고, 또 현행 당헌.당규에도 나와있는데 그걸 바꾸자는 것은 그야말로 어거지”라고 이 전 시장측 주장을 일축했다. 최 의원은 “혁신위 안을 만들 때 이명박 당시 서울시장과 손학규 지사까지 다 동의한 것은 어떻게 설명할 것이냐”며 “이제와서 바꾸자고 하니 이거야말로 어거지가 아니고 무엇이겠냐”고 거듭 이 전 시장측을 비판했다.
그는 이어 “자기들이 정말 민심과 당심에서 앞서고 있다는 소위 대세론을 주장한다면, 앞선 사람이 양보를 하는 게 순리이지, 어떻게 앞선 사람이 고집을 부리냐”고 이 전 시장측을 압박했다.
그는 강 대표의 내주 초 결정에 대해서도 “강 대표가 잘 알아서 하실 것”이라며 “만약 그 결정에 이 전 시장측이 반발한다면 그야말로 대안이 없다. 지도부는 그대로 밀고가면 된다”고 주장했다.
한편 4일 오후 서울 염창동 당사에서 이명박-박근혜-강재섭 ‘3자회동’을 놓고서는 양측 모두 “별다른 소득을 기대하지는 않는다”는 입장이다.
박 의원은 “내일 회동에 대해 특별히 준비할 것은 없다”며 “당 분열모드를 통합모드로 바꾸는 상징적 만남”이라고 애써 3자 회동에 별다른 의미를 부여하지 않았다. 최 의원 또한 “만나는 그 자체가 상징적인 것이지 거기서 무슨 구체적인 협상을 하겠냐”고 회동 의미를 축소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