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저소득층 20%, 빚 내서 연명"

현대경제연 "저축률 98년 23.2%에서 작년 3.5%로 급락"

소득 하위 20%의 저소득 계층은 빚을 내 생활하고 있으며, 저축률도 IMF사태 직후인 98년 23.2%에서 2006년 3.5% 수준까지 급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경제연구원은 6일 보고서를 통해 "소득이 가장 낮은 하위 20% 계층 저축률은 2003년 -14.8%, 2004년 -17.5%, 2005년 -13.5% 등으로 집계됐다"며 "이는 소득하위 계층의 상당수가 빚을 내 살고 있다는 의미"라고 밝혔다. 이들은 주로 고리대 대금업체들로부터 돈을 빌려 치유 불능의 몰락의 길로 빠져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득 상위 20% 계층과 하위 20% 계층의 저축률 격차는 외환위기 이전인 96년 35.4%포인트에서 2005년 51.0%포인트로 확대됐다"며 양극화 심화를 지적했다.

연구원은 또한 가계 저축률의 급속한 하락과 관련, "소득분배구조가 개선되지 않은 데다 실업률도 회복 기미를 보이지 않아 가계의 소득 증가율이 소비 증가율을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이며 "가계자산의 포트폴리오가 부동산에 편중돼 있고 외환위기 이후 가계의 소비패턴이 고급화된 데다 고령화로 가계의 부양부담이 늘어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연구원은 이에 따라 "가계의 자산포트폴리오가 부동산에 치우치지 않고 균형있게 구성되도록 유도하는 한편 가계부채가 위험수위까지 올라온 상황에서 이자비용이 늘어나지 않도록 금리 인상을 자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홍국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