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靑, 전경련 첫 초청. 경실련 "대선때 해체 약속했잖나"

文정부 출범후 처음으로 靑 만찬에 전경련 회장 초청

허창수(71)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이 지난 26일 청와대 초청으로 청와대 행사에 참석, 경실련이 문 대통령을 질타하는 등 논란이 일고 있다.

허창수 GS 회장은 26일 저녁 청와대에서 열린 필리프 벨기에 국왕 환영 만찬에 전경련 회장 자격으로 참석했다. 허 회장은 문재인 정부 출범후 GS그룹 회장 자격으로는 정부 행사에 여러 차례 참여했지만, 전경련 회장 자격으로 참석하기는 이번이 처음이어서 '전경련 패싱'이 해제된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이에 대해 경실련은 27일 성명을 통해 "이는 정부 출범이후 끊임없이 부총리, 각 부처 장관, 더불어민주당 등이 시도하였던 전경련과의 관계 개선을 위한 포석의 결과로서, 표리부동의 전형"이라며 "촛불정신을 내세우며 대선에서 승리한 후 공정경제와 혁신성장을 이야기하지만, 이번 공식적 만남으로 재벌개혁 의지가 전혀 없음이 드러났다"고 질타했다.

경실련은 그러면서 지난 대선후보 시절 문 대통령이 전경련 해체에 대한 의견을 묻는 경실련의 공개질의에 답변한 내용을 상기시키기도 했다.

당시 문 후보는 “우리 역사에서 반복되어 온 정경유착의 악순환을 이제 단절해야 한다. 정치권력의 모금창구 역할을 한 전경련의 행위는 반칙과 특권의 상징과도 같다. 국민적 비판여론에 따라 주요 재벌기업들이 전경련 탈퇴를 하고 있는 상황에서 전경련은 더 이상 경제계를 대표할 자격과 명분이 없다"며 "기업과 전경련이 자체로 결정할 문제이지만 차제에 전경련은 스스로 해체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경실련은 "전경련은 미르·K스포츠재단 설립에 자금 출연을 주도한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의 주범이었다. 또한 정치적 성향을 띤 보수단체 등의 지원으로 정치에 간접적으로 개입하기도 했다"며 "일말의 순기능조차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을 국민 대다수가 동의하여, 그 해체를 대선공약으로 내건 후보를 선택한 것"이라며 문 대통령에게 약속 파기에 대한 대국민사과를 촉구했다.
최병성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15 개 있습니다.

  • 0 1
    사람나라

    촛불켜서 양다리한테 주어버렸네.
    아니, 이재용이 무등태워주더니, 어버이연합 지원한 수꼴 전경련을
    아직도 비호하다니...
    보수 민주당 정권이 이제는 수꼴 우익화되가고 있네 !

  • 0 0
    그러니

    지금은
    그냥 라이온스 클럽 운영하듯 한다 생각하고
    다음 기회를...

  • 0 0
    사실상

    시민사회 쪽에선 거의 욕 다 얻어먹고 있잖아.
    현실 개혁쪽에선 거의 나가리로 일관하기 때문에.

  • 23 1
    류촉새

    촛불이 죽쒀 개준겨 ♥♥♥
    샴숑따까리 재벌똘마니 개굴이와 샴쌍둥이재 ㅎㅎㅎ
    어벙벙어리벙벙어리버리 A4인생 문어벙이 ㅎㅎㅎ
    자식새끼들 앞세우고 골로갈끼다 ㅎㅎㅎ

  • 27 1
    ㅋㅋㅋㅋ

    민좇당과 문좨앙이 개돼지 편을 들어줄거라 생각했다면
    경기도 오산이지 ㅋ

  • 7 3
    경실련

    뒤로 전경련한테 돈 안받낭?

  • 26 1
    약탈자

    최정호를 처단하고 서민주거 확보하자!!!!!!!!!!!!!

  • 37 0
    서민

    뭐라꼬? 아직도 해체 안 됐어?

  • 2 1
    아나키스트

    대 국민 호도용, 대 재벌 아부용
    양식 있는 국민들은 눈치까고 하차 하는데
    입 따로 행동 따로 노는 것 경실련은 이제 아셨나?

  • 2 0
    경제학은..

    사람들의 생각이 합리적이고 도덕감정이 있어서 국가가 개입안해도
    자원을 효율배분하고..가격이 구매심리에 영향을줘서 물가조절역할
    을 한다는 믿음?에서 출발했는데
    이것은 과학이 아니라 신앙심에 가까운것이다.
    문제는 한국경제계가 국가개입을 줄인 자유시장를 말하는
    미국시카고학파의 신도들이라는것인데..국민들이 착취되는
    상태에서는 구매심리는없고 양극화만 된다는것..

  • 3 0
    GNI(2018)이 3만달러이상인데

    이말은 1달러환율 1150원으로 계산하면
    1인당 1년소득이 3450만원이므로 4인가족이면
    1억3천8백만원이 1년소득이다..현실이 그런가?.
    재벌의 내부거래로 인한 40조원 부당이득과
    4대강-해외자원-방산비리로 최소200조가 증발
    한것때문에 양극화가된것..
    http://www.hani.co.kr/arti/economy/finance/838121.html

  • 3 0
    2018소득양극화는 인구구조때문이다

    [다스뵈이다 52-최배근 교수]
    문재인정부의 일자리정책으로 60대이상의 취업증가는
    저임금일자리가 증가된것이고..
    3040대의 취업감소는 상대적으로 고소득이 줄어준것인데
    고령인구 증가와 기득권재벌의 투자와 청년층채용감소로
    인한 소득양극화를 정부정책잘못으로 보도하는것은 언론이
    인구구조변화를 이해못한 결과다..

  • 3 0
    노벨경제학상은 보수적인경향인데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미국경제학자들은
    문재인정부의 소득주도성장론과
    같은말을 하고있다..
    경제위기의 원인은..
    경제학자가 없어서가 아니라..
    경제학자의 양심이 없어서..라고
    생각한다..

  • 1 0
    2017한국 1인당GDP3139만원을

    연 노동시간 2069시간으로 나누면
    시간당 1만5169원인데 최저임금이 만오천원까지 올라도
    경제성장에 문제가 없다는 뜻이며
    미국의 대표적경제학자 폴 크루그먼(노벨경제학상)은 고소득층의
    수입을 압착(compress)하여 저소득층의 수입을 올린 1940-1970년
    (30년)이 미국경제의 황금기라고 표현했다..

  • 3 0
    스티글리츠 교수-낙수효과는 미신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
    artid=201806050600015&code=920100
    낙수효과는 미신이다. 공정한 과세와 최저임금 강화로
    중산층을 키워야 경제가 살아난다.
    - 스티글리츠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 노벨 경제학상(2001년)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