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정년 70세로 연장하겠다"
"매년 50만개, 5년간 2백50만개 일자리 창출할 것"
범여권 대선주자인 정동영 전 통일부장관은 7일 ‘고령자 고용안정법’ 제정을 통해 정년을 70세로 연장하겠다고 밝혔다.
정 전 장관은 이날 정례 정책간담회에 앞서 배포한 일자리창출프로젝트 공약 보도자료를 통해 "중산층 복원, 취직자리가 열쇠라는 점에서 신입사원의 고용을 확대하는 기업에 대한 ‘고용증대 특별세액 공제제도’ 도입, ‘고령자 고용안정법’ 제정을 통한 70세로의 정년 연장, 매년 50만개, 5년간 2백5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달성가능한’ 목표를 제시하는 등 일자리 창출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중산층 복원을 위해서는 ‘취직자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며 "평화경제를 통한 ‘한반도 U턴 프로젝트’를 기획하여 ‘개성공단 활성화’를 통해 직적접인 일자리 창출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그는 "구체적으로 신입사원의 고용을 확대하는 기업에 대한 ‘고용증대 특별세액 공제제도’ 도입, ‘고령자 고용안정법’ 제정을 통해 70세로 정년연장, 대학에 사회교육과정으로 2년제 육아.임신지원 상담사 과정 개설, '미래희망 3-6-9 플랜‘을 통한 재취업의 발판 마련, ‘정규직 고용의 인센티브 강화’ 정책(‘스페인 모델’)을 통한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등을 추진하겠다"고 자신의 공약을 제시했다.
그는 "이명박 후보와 박근혜 후보의 7% 성장, 60만개 일자리 목표는 ‘과장된’ 수치라고 생각한다"며 "6%대의 거품없고 지속가능하고 질 좋은 성장으로, 매년 50만개, 5년간 2백5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달성가능한’ 목표를 통해 서민과 중산층이 살맛 나는 삶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 전 장관은 이날 정례 정책간담회에 앞서 배포한 일자리창출프로젝트 공약 보도자료를 통해 "중산층 복원, 취직자리가 열쇠라는 점에서 신입사원의 고용을 확대하는 기업에 대한 ‘고용증대 특별세액 공제제도’ 도입, ‘고령자 고용안정법’ 제정을 통한 70세로의 정년 연장, 매년 50만개, 5년간 2백5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달성가능한’ 목표를 제시하는 등 일자리 창출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중산층 복원을 위해서는 ‘취직자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며 "평화경제를 통한 ‘한반도 U턴 프로젝트’를 기획하여 ‘개성공단 활성화’를 통해 직적접인 일자리 창출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그는 "구체적으로 신입사원의 고용을 확대하는 기업에 대한 ‘고용증대 특별세액 공제제도’ 도입, ‘고령자 고용안정법’ 제정을 통해 70세로 정년연장, 대학에 사회교육과정으로 2년제 육아.임신지원 상담사 과정 개설, '미래희망 3-6-9 플랜‘을 통한 재취업의 발판 마련, ‘정규직 고용의 인센티브 강화’ 정책(‘스페인 모델’)을 통한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등을 추진하겠다"고 자신의 공약을 제시했다.
그는 "이명박 후보와 박근혜 후보의 7% 성장, 60만개 일자리 목표는 ‘과장된’ 수치라고 생각한다"며 "6%대의 거품없고 지속가능하고 질 좋은 성장으로, 매년 50만개, 5년간 2백5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달성가능한’ 목표를 통해 서민과 중산층이 살맛 나는 삶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