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이해찬 "북핵문제, 남북정상회담 의제 아니다"

“김정일, 제주도 가보고 싶어한다는 이야기 북측서 들었다”

이해찬 전 총리는 14일 남북정상회담 의제와 관련, 북핵문제는 이미 6자회담에서 논의와 실행이 이뤄지고 있기 때문에 이번 회담의 의제가 아닐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전 총리는 또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제주도 등을 가보고 싶어한다는 의견을 북한측 인사로부터 들은 적이 있다고 밝혀, 김 위원장의 답방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 전 총리는 이날 오전 CBS라디오 ‘뉴스레이다’와 인터뷰에서 남북정상회담에서 북한 핵문제의 의제화에 대해 “지금 한나라당은 자꾸 이 정상회담을 어떻게 해서든지 방해를 놓을까, 그런 생각을 하고 있다”며 “북한 핵문제는 이미 6자회담에서 로드맵이 다 만들어졌고, 지금 핵불능화 단계에 들어가고 있다는 점에서 핵문제는 지금 잘 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여섯 나라가 회담을 해 행동 대 행동의 원칙에 따라 지금 잘 이행되고 있고 우리도 참여해서 거기서 다루고 있지 않나"라고 반문한 뒤, "거기서 의제를 잘 관리하고 다루고 있기 때문에 정상회담의 의제가 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그는 남북정상회담 의제와 관련, “지금 남북간에 공동으로 합의한 사항은 평화체제와 공동번영으로 평화체제는 지금 휴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전환시켜서 향후 군비통제를 하자는 그런 방향으로 논의가 될 것 같다"며 "그렇게 되면 비무장지대를 평화적으로 공동관리하고 이런 군비를 감축하는 그런 점들이 주요의제가 될 것 같다”고 전망했다.

그는 또 “공동번영은 역시 경제교류협력을 대폭 확대하는 것으로 개성공단 같은 것을 남포나 원산이나 이런 쪽에 더 확대하고 북쪽의 SOC기반시설을 남쪽하고 공동으로 개발하는 내용이 논의될 것”이라며 “북쪽에는 많은 광물자원을 공동으로 개발해서 이용하고 이런 일들이 많이 논의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김정일 위원장의 답방 가능성에 대해선 “지난 번 1차 정상회담에서도 서로 답방하기로 했었다. 그런데 답방을 안 했는데 이번에도 우리 정부는 장소와 시기에 구애받지 않는다고 여러번 천명을 해왔다”며 “그래서 이번에도 평양에서 하는 것을 우리가 수용했는데 절차로 본다면 답방을 하는 것이 맞겠다. 3월달에 제가 평양에 가서 그쪽 고위층들하고 만났을 때는 김정일 위원장이 제주도나 이런 데를 가보고 싶어하신다는 그런 의견은 제가 들은 적은 있었다”고 말했다.
김홍국 기자

댓글이 1 개 있습니다.

  • 2 2
    보위부

    의제는 구국전선이 불러준다
    남조선 반동들은 그저 따라하라우.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