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원, 제주 찾았으나 4·3유족들 "징계 피하려는 쇼"
당 윤리위 최우선 징계대상 될듯하자 동분서주
4·3 추념식이 격이 낮다는 발언으로 물의를 빚은 김재원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20일 제주를 찾아 4·3 유족들을 만났으나 "징계위기를 피하려는 쇼"라는 혹독한 질책을 받았다.
김 최고위원은 이날 오후 제주시 봉개동 제주4·3평화기념관에서 유족들과 만나 "제가 4·3 유족과 마음을 제대로 헤아리지 못하고 많은 잘못을 했다. 진심으로 사과드린다. 죄송하다"고 고개를 숙였다.
그러면서 "방송 인터뷰에서 말씀드린 것은 4·3추념일을 폄훼하거나 유족들을 폄훼할 생각이 아니었다"며 "(방송 당시) 나름대로 조심하면서 당일 신문기사를 참고해서 읽었던 것인데 방송이 끝나고 난 뒤에 잘못을 알게 됐다"며 단지 <조선일보> 기사를 인용한 것임을 강조했다.
이어 "부주의하게 유족분들의 마음을 아프게 한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용서를 구했다.
이에 대해 일부 유족들은 "진정한 사과가 아니다", "징계 위기에 몰리자 징계 받지 않으려는 쇼다", "유족들이 들러리냐"고 고성을 지르며 자리를 박차고 나갔다.
남은 유족들은 "당의 수석최고위원으로서 사과하러 온 것이면 당의 공식 입장을 갖고 왔어야 한다"며 "돌아가서라도 당의 대변인을 통해 공식 입장을 밝힐 것을 약속해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김 최고위원은 "자숙하는 기간이어서 당의 입장을 들고 와 발표할 사정이 아니다. 당 지도부에도 개인적인 잘못을 사과하는 자리로 말씀드리고 왔다"며 "제가 가서 그런 말씀과 뜻은 전달하겠지만 여기서 모든 것을 약속하고 갈 수 없어서 함부로 말씀을 못 드린다"고 말했다.
한 유족이 제주4·3을 모욕하거나 허위사실을 유포할 경우 처벌하는 내용을 담은 '제주 4·3 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의 통과 등에 함께할 수 있겠느냐고 묻자, 그는 "그런 부분을 포함해 4·3 유족의 마음을 치유하는 일에 앞장서겠다"고 답했다.
김 최고위원은 이후 제주4·3평화공원 내 위령제단을 찾아 참배했다.
김 최고위원은 '5·18 정신 헌법 수록 반대', '전광훈 목사 우파진영 천하통일', '제주 4·3은 격이 낮은 기념일' 등 끊임없이 물의를 빚다가 지도부의 질타를 받고 이달 들어 언론 인터뷰, 최고위 불참 등 모든 공식일정을 접은 상태다.
그는 전날 구성을 마친 당 윤리위의 최우선 징계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다.
김 최고위원은 이날 오후 제주시 봉개동 제주4·3평화기념관에서 유족들과 만나 "제가 4·3 유족과 마음을 제대로 헤아리지 못하고 많은 잘못을 했다. 진심으로 사과드린다. 죄송하다"고 고개를 숙였다.
그러면서 "방송 인터뷰에서 말씀드린 것은 4·3추념일을 폄훼하거나 유족들을 폄훼할 생각이 아니었다"며 "(방송 당시) 나름대로 조심하면서 당일 신문기사를 참고해서 읽었던 것인데 방송이 끝나고 난 뒤에 잘못을 알게 됐다"며 단지 <조선일보> 기사를 인용한 것임을 강조했다.
이어 "부주의하게 유족분들의 마음을 아프게 한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용서를 구했다.
이에 대해 일부 유족들은 "진정한 사과가 아니다", "징계 위기에 몰리자 징계 받지 않으려는 쇼다", "유족들이 들러리냐"고 고성을 지르며 자리를 박차고 나갔다.
남은 유족들은 "당의 수석최고위원으로서 사과하러 온 것이면 당의 공식 입장을 갖고 왔어야 한다"며 "돌아가서라도 당의 대변인을 통해 공식 입장을 밝힐 것을 약속해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김 최고위원은 "자숙하는 기간이어서 당의 입장을 들고 와 발표할 사정이 아니다. 당 지도부에도 개인적인 잘못을 사과하는 자리로 말씀드리고 왔다"며 "제가 가서 그런 말씀과 뜻은 전달하겠지만 여기서 모든 것을 약속하고 갈 수 없어서 함부로 말씀을 못 드린다"고 말했다.
한 유족이 제주4·3을 모욕하거나 허위사실을 유포할 경우 처벌하는 내용을 담은 '제주 4·3 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의 통과 등에 함께할 수 있겠느냐고 묻자, 그는 "그런 부분을 포함해 4·3 유족의 마음을 치유하는 일에 앞장서겠다"고 답했다.
김 최고위원은 이후 제주4·3평화공원 내 위령제단을 찾아 참배했다.
김 최고위원은 '5·18 정신 헌법 수록 반대', '전광훈 목사 우파진영 천하통일', '제주 4·3은 격이 낮은 기념일' 등 끊임없이 물의를 빚다가 지도부의 질타를 받고 이달 들어 언론 인터뷰, 최고위 불참 등 모든 공식일정을 접은 상태다.
그는 전날 구성을 마친 당 윤리위의 최우선 징계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