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수출, 감소 한달만에 반등 성공
반도체-자동차 수출 견인
6월 수출이 감소 한 달 만에 다시 증가세를 회복했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의 '6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6월 수출액은 598억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4.3% 증가했다.
월간 수출은 2023년 10월부터 15개월 연속으로 증가한 뒤 지난 1월 감소로 돌아섰다가 이후 3개월 연속 증가한 뒤 지난 5월 다시 감소로 돌아섰었다.
수출 견인차인 반도체의 6월 수출은 149억7천만달러로 작년보다 11.6% 증가하며 사상 최대 실적 기록을 경신했다. 지난 2월 감소에 이어 4개월 연속 증가세다.
자동차 수출도 63억달러로 2.3% 증가하며, 6월 역대 최대 실적을 썼다.
자동차 수출은 트럼프 관세로 대미 수출은 줄었으나 유럽연합(EU) 등으로의 수출이 증가하고 중고차 수출이 크게 증가했다.
주요 국가별 수출을 보면, '트럼프 관세'의 직접 영향을 받는 대미 수출이 112억4천만달러로 0.5% 감소했고, 대중 수출도 104억2천만달러로 2.7% 줄었다.
한국의 6월 수입액은 507억2천만달러로 작년 동월 대비 3.3% 증가했다.
이로써 6월 무역수지는 90억8천만달러 흑자로, 2018년 9월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무역수지는 올해 1월 잠시 적자를 기록한 것을 제외하면 2023년 6월 이후 계속 흑자를 나타내고 있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의 '6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6월 수출액은 598억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4.3% 증가했다.
월간 수출은 2023년 10월부터 15개월 연속으로 증가한 뒤 지난 1월 감소로 돌아섰다가 이후 3개월 연속 증가한 뒤 지난 5월 다시 감소로 돌아섰었다.
수출 견인차인 반도체의 6월 수출은 149억7천만달러로 작년보다 11.6% 증가하며 사상 최대 실적 기록을 경신했다. 지난 2월 감소에 이어 4개월 연속 증가세다.
자동차 수출도 63억달러로 2.3% 증가하며, 6월 역대 최대 실적을 썼다.
자동차 수출은 트럼프 관세로 대미 수출은 줄었으나 유럽연합(EU) 등으로의 수출이 증가하고 중고차 수출이 크게 증가했다.
주요 국가별 수출을 보면, '트럼프 관세'의 직접 영향을 받는 대미 수출이 112억4천만달러로 0.5% 감소했고, 대중 수출도 104억2천만달러로 2.7% 줄었다.
한국의 6월 수입액은 507억2천만달러로 작년 동월 대비 3.3% 증가했다.
이로써 6월 무역수지는 90억8천만달러 흑자로, 2018년 9월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무역수지는 올해 1월 잠시 적자를 기록한 것을 제외하면 2023년 6월 이후 계속 흑자를 나타내고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