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선사장 기소유예, 김동진 부회장 등 불구속기소
검찰 "혐의 있으나 부자 모두 법정 세우는 것 가혹”
현대차그룹 비리사건을 수사 중인 대검 중수부(박영수 검사장)는 9일 ㈜본텍 부실채권 인수 과정에서 회사에 수백억원의 손해를 끼친 혐의를 받고 있는 정의선 기아차 사장을 기소유예 처분했다.
검찰은 또 1천여억원의 비자금 조성.횡령 등에 관여한 김동진 총괄부회장, 이정대 재경사업본부장, 김승년 구매총괄본부장 등 3명을 불구속기소하는 한편 부실채권인수 과정에서 회사에 손해를 끼친 혐의로 정몽구 회장을 추가 기소했다.
검찰, 현대차 비리사건 최대수혜자이자 공범 봐주기 비판 받을 듯
채동욱 대검 수사기획관은 "정 사장과 정 회장은 본텍 부실채권 인수 과정에서 업무상 배임 등의 혐의가 있지만 주책임자인 정 회장을 구속한 상황에서 부자를 법정에 함께 세우는 것은 가혹하고 현대차의 경영 공백 가중 우려를 고려해 정 사장을 형사입건 후 기소유예 처분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검찰이 경영권 편법승계라는 현대차 비리사건의 최대 수혜자이자 공범인 정 사장에게 기소유예 처분을 내림에 따라 현대차 비리사건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보여온 참여연대.경실련 등 시민단체들로부터 ‘재벌 봐주기’라는 비난이 커질 전망이다.
정 사장은 부친인 정 회장과 공모해 2001년 3월 기아차 부품회사인 서울차체공업㈜ 부실채권을 자신이 대주주로 있는 지유㈜가 5백62억여원에 매수하는 과정에서 현대모비스㈜ 등 계열사에서 4백85억원을 빌려 유동성을 상실케 한 혐의를 받아왔다.
또 한국자산관리공사가 보유한 1백72억원 상당의 본텍 채권을 기업구조조정전문회사(CRC)인 J&H, 현대차 관계사인 에스디 홀딩스, 지유㈜ 등을 거쳐 매입하는 과정에서 본텍에 72억3천만원의 손해를 끼친 혐의도 받고 있다.
김동진 부회장은 비자금 조성.횡령, 현대우주항공㈜ 부실채권 청산 과정의 업무상 배임, 뇌물 공여 등의 혐의를 받고 있으며 이정대.김승년 본부장은 비자금 조성.횡령 혐의가 있다고 검찰은 밝혔다.
채 기획관은 "현대차 본체 수사는 사실상 마무리됐으며 앞으로 비자금 용처 수사와 현대차측 브로커로 활동한 김동훈 전 안건회계법인 대표, 김재록 글로벌인베스투스 대표의 비리 등을 집중 수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다만 현대차그룹 계열사의 부채탕감을 위해 박상배 전 산업은행 부총재 등에게 금품을 전달한 혐의를 받고 있는 김평기 ㈜위아 대표이사 겸 부회장의 수사는 계속진행하기로 했다.
그러나 정 회장과 김동훈.김재록씨 등이 비자금의 용처나 로비 의혹에 대해 입을 열지 않고 있어, 검찰의 공언했던 '출구조사' 즉 비자금 용처 수사가 성과를 거둘 수 있을 지는 미지수이다.
한편 현대차 임직원들을 일괄기소한 검찰은 정 회장의 수사기록을 수일 내로 재판부에 제출할 계획이어서 법원이 정 회장 보석 허가 여부를 조만간 결정할 전망이다.
검찰은 또 1천여억원의 비자금 조성.횡령 등에 관여한 김동진 총괄부회장, 이정대 재경사업본부장, 김승년 구매총괄본부장 등 3명을 불구속기소하는 한편 부실채권인수 과정에서 회사에 손해를 끼친 혐의로 정몽구 회장을 추가 기소했다.
검찰, 현대차 비리사건 최대수혜자이자 공범 봐주기 비판 받을 듯
채동욱 대검 수사기획관은 "정 사장과 정 회장은 본텍 부실채권 인수 과정에서 업무상 배임 등의 혐의가 있지만 주책임자인 정 회장을 구속한 상황에서 부자를 법정에 함께 세우는 것은 가혹하고 현대차의 경영 공백 가중 우려를 고려해 정 사장을 형사입건 후 기소유예 처분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검찰이 경영권 편법승계라는 현대차 비리사건의 최대 수혜자이자 공범인 정 사장에게 기소유예 처분을 내림에 따라 현대차 비리사건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보여온 참여연대.경실련 등 시민단체들로부터 ‘재벌 봐주기’라는 비난이 커질 전망이다.
정 사장은 부친인 정 회장과 공모해 2001년 3월 기아차 부품회사인 서울차체공업㈜ 부실채권을 자신이 대주주로 있는 지유㈜가 5백62억여원에 매수하는 과정에서 현대모비스㈜ 등 계열사에서 4백85억원을 빌려 유동성을 상실케 한 혐의를 받아왔다.
또 한국자산관리공사가 보유한 1백72억원 상당의 본텍 채권을 기업구조조정전문회사(CRC)인 J&H, 현대차 관계사인 에스디 홀딩스, 지유㈜ 등을 거쳐 매입하는 과정에서 본텍에 72억3천만원의 손해를 끼친 혐의도 받고 있다.
김동진 부회장은 비자금 조성.횡령, 현대우주항공㈜ 부실채권 청산 과정의 업무상 배임, 뇌물 공여 등의 혐의를 받고 있으며 이정대.김승년 본부장은 비자금 조성.횡령 혐의가 있다고 검찰은 밝혔다.
채 기획관은 "현대차 본체 수사는 사실상 마무리됐으며 앞으로 비자금 용처 수사와 현대차측 브로커로 활동한 김동훈 전 안건회계법인 대표, 김재록 글로벌인베스투스 대표의 비리 등을 집중 수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다만 현대차그룹 계열사의 부채탕감을 위해 박상배 전 산업은행 부총재 등에게 금품을 전달한 혐의를 받고 있는 김평기 ㈜위아 대표이사 겸 부회장의 수사는 계속진행하기로 했다.
그러나 정 회장과 김동훈.김재록씨 등이 비자금의 용처나 로비 의혹에 대해 입을 열지 않고 있어, 검찰의 공언했던 '출구조사' 즉 비자금 용처 수사가 성과를 거둘 수 있을 지는 미지수이다.
한편 현대차 임직원들을 일괄기소한 검찰은 정 회장의 수사기록을 수일 내로 재판부에 제출할 계획이어서 법원이 정 회장 보석 허가 여부를 조만간 결정할 전망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