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외환보유고 43억달러 또 감소, '총알' 소진?

가용외환 200달러로 급감, 환율 불안 계속될듯

외환보유액이 외환시장 개입 여파로 7월에 이어 8월에도 큰 폭으로 감소하며 두달 새에 150억 달러가 줄어 시장 불안감을 심화시키고 있다. 특히 시장 개입에 사용할 수 있는 가용 보유고가 200억달러로 급감, 환율 불안은 더욱 커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한국은행은 2일 8월말 현재 외환보유액이 2천432억 달러로 전월말에 비해 43억2천만 달러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는 사상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던 지난 7월(-105억8천만 달러)에 이어 올 들어 두 번째로 큰 규모다.

또한 이는 4월이래 5개월 연속 감소 기록이기도 하다. 외환보유고가 5개월 연속 줄어든 것은 1971년 통계 집계이래 처음이다.

외환보유고는 지난 4월말 2천642억달러로 정점을 찍은 뒤 다섯달 사이에 210억달러가 급감했다. 8월 외환보유고 2천432억달러는 지난해 2월(2천428억달러) 수준이다.

특히 시장을 불안하게 하는 것은 한은이 부담없이 환율시장 개입에 사용할 수 있는 '총알'이 급감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우려다. 일반적으로 외환보유고에서 유동외채(단기외채+잔여만기 1년 이내 장기채)를 뺀 나머지 돈을 부담없이 쓸 돈으로 여긴다. 그러나 유동외채는 계속 늘어나고 있는 반면, 외환보유고는 줄어들면서 8월에 차액은 208억달러로 쪼그라들었다.

강만수 기획재정부장관은 1일 국회에서 "앞으로 정부는 필요할 때는 필요한 개입을 확실히 하겠다"고 호언했다. 문제는 '총알'이 떨어져간다는 사실이다. 더 큰 문제는 시장이 강만수 장관을 불신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최병성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2 개 있습니다.

  • 17 5
    알아야 할 현실

    아주 나쁜 선례 : 정치 발전을 위해서는 외환 위기가 또 일어나야 한다?
    김영삼 정부가 결국 외환 위기(+이인제의 분당)로 수평적 정권 교체 대상이 되었지만, 아직도 '보수'라는 투표 성향이 훨씬 강한 상황에서 또 외환 위기가 일어나야 이명박 정부도 안 되니, '보수' 색을 입은 정권한테 경제나 사회 운용을 맡기면 안 되겠다는 생각이 진정으로 들려나?
    미리미리 알아서 이명박 정부를 선택하지 않았어야 했지만, 그렇지 못한 집단적 '선택'에 할 말이 없기에, 나도 앉아서 외환 위기의 불똥을 또 맞아야 하는 상황이 될까 매우 억울하다. 절대 앉아서 당하지는 않겠다는 생각은 하지만, 그럼에도 주변의 많은 사람들이 불똥을 맞으면, 나도 비록 직접 맞지는 않아도 간접적으로 맞는 효과는 어쩔 수 없는 일이 될 것이다.
    이러니 '당해도 싸다'는 소리가 낯설지 않지.
    이명박 정부가 스스로 물러나겠다는 용단을 내리지 않으면, 시장 개선은 물론 정치 발전도 없을 것이다.
    이명박 정부의 마지막 기회이다.

  • 17 4
    111

    시장은 이명박도 버렸다
    이명박은 끝난 정권....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