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 '해외골프' '유학' 맹비난
신제윤 "이런 판에 해외골프, 유학이 맞는지 의문"
외화유동성에 문제가 없다고 큰소리 치던 기획재정부가 뒤늦게 사태의 심각성을 인정하면서 애꿎게 '해외골프'와 '유학'을 비난하고 나섰다.
신제윤 기획재정부 차관보는 26일 오전 강남구 르네상스호텔에서 선진화포럼 주최로 열린 `국제적 금융위기와 우리의 대응' 토론회에서 "현재 국제 금융시장에서는 1주일짜리 `론(차입)'도 없어져 모두 하루짜리 `오버나이트'로 거래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현재 가장 타격이 큰 부분이 외화유동성"이라며 최근의 심각한 달러기근 현상을 시인했다.
그는 또 "국제 금융시장에서 미 정부에 대한 신뢰는 남아있지만 투자은행(IB)이든 상업은행(CB)이든 금융회사에 대한 신뢰는 완전히 붕괴됐다"며 심각한 국제금융위기 상황을 전하기도 했다.
그는 향후 대응방안으로 "미국의 경우 기축통화국으로서 달러를 찍으면 되기에 유리하지만 우리나라처럼 `스몰오픈이코노미'(소규모 개방경제)'는 기본으로 돌아가야 한다"며 "앞으로 달러 조달난의 장기화에 대비해 외화차입이 아니라 경상수지에 보다 노력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이런 상황에서 해외에서 골프치고 유학시키는 것이 맞는지 의문"이라며, '해외골프'와 '유학'을 경상적자의 주범으로 몰며 비난했다.
그는 "다행이 외환보유액을 2천400억달러 이상 쌓은 것이 국내의 위기를 미연해 방지한 일등공신"이라며 "평시도 돌아가면 가능한 한 외환보유액을 많이 쌓는 것이 좋다고 본다"며 경상흑자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시중에서 오래 전부터 제기돼온 '외화유동성 위기설'을 낭설로 일축하다가 뒤늦게 시인하면서 엉뚱하게 '해외골프'와 '유학'에 책임을 떠넘기는 식인 재정부에 대해, 환율 폭등으로 등허리가 휘고 있는 '기러기아빠' 등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 주목된다.
신제윤 기획재정부 차관보는 26일 오전 강남구 르네상스호텔에서 선진화포럼 주최로 열린 `국제적 금융위기와 우리의 대응' 토론회에서 "현재 국제 금융시장에서는 1주일짜리 `론(차입)'도 없어져 모두 하루짜리 `오버나이트'로 거래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현재 가장 타격이 큰 부분이 외화유동성"이라며 최근의 심각한 달러기근 현상을 시인했다.
그는 또 "국제 금융시장에서 미 정부에 대한 신뢰는 남아있지만 투자은행(IB)이든 상업은행(CB)이든 금융회사에 대한 신뢰는 완전히 붕괴됐다"며 심각한 국제금융위기 상황을 전하기도 했다.
그는 향후 대응방안으로 "미국의 경우 기축통화국으로서 달러를 찍으면 되기에 유리하지만 우리나라처럼 `스몰오픈이코노미'(소규모 개방경제)'는 기본으로 돌아가야 한다"며 "앞으로 달러 조달난의 장기화에 대비해 외화차입이 아니라 경상수지에 보다 노력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이런 상황에서 해외에서 골프치고 유학시키는 것이 맞는지 의문"이라며, '해외골프'와 '유학'을 경상적자의 주범으로 몰며 비난했다.
그는 "다행이 외환보유액을 2천400억달러 이상 쌓은 것이 국내의 위기를 미연해 방지한 일등공신"이라며 "평시도 돌아가면 가능한 한 외환보유액을 많이 쌓는 것이 좋다고 본다"며 경상흑자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시중에서 오래 전부터 제기돼온 '외화유동성 위기설'을 낭설로 일축하다가 뒤늦게 시인하면서 엉뚱하게 '해외골프'와 '유학'에 책임을 떠넘기는 식인 재정부에 대해, 환율 폭등으로 등허리가 휘고 있는 '기러기아빠' 등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 주목된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