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생산자물가 3개월 연속 하락...낙폭은 찔끔
교통요금 상승, 환율 상승 등으로 국제유가 하락에도 소폭 하락
10월 생산자 물가가 전월대비 기준으로 3개월 연속 떨어졌으나 낙폭은 적었다. 국제유가 급락에도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고 교통요금 등이 오른 결과다.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10월 생산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총지수는 전월보다 0.3% 떨어져 8월(-0.3%)과 9월(-0.3%)에 이어 3개월째 하락세를 나타냈다.
전년 동월대비 기준으로 총지수는 10월에 10.7%의 상승률을 나타내 8월 12.3%, 9월 11.3%에 이어 3개월 연속 둔화됐다.
전월대비 기준으로 품목별 등락을 보면 서비스 분야에서 택시요금이 3.4% 상승했고 국제항공여객료 4.2%, 시외버스료 3.9%, 고속버스료 6.1%, 택배료 2.0% 등 교통요금이 상승을 주도했다.
반면 주가하락의 영향으로 펀드수수료는 11.4%, 위탁매매수수료는 18.7% 각각 내렸다.
농림수산품에서 풍작 탓으로 배추는 26.2%, 시금치는 30.8%, 돼지고기는 14.4% 떨어졌다. 반면, 닭고기는 25.7% 올랐고 조기는 35.4%, 굴은 16.8% 상승했다.
공산품에서 등유는 5.6%, 휘발유는 2.3%, 경유는 4.6%의 폭으로 각각 떨어졌다. 알루미늄괴는 13.7%, 흑철선은 11.5%의 비율로 각각 내리는 등 금속제품도 대체로 하락했다.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10월 생산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총지수는 전월보다 0.3% 떨어져 8월(-0.3%)과 9월(-0.3%)에 이어 3개월째 하락세를 나타냈다.
전년 동월대비 기준으로 총지수는 10월에 10.7%의 상승률을 나타내 8월 12.3%, 9월 11.3%에 이어 3개월 연속 둔화됐다.
전월대비 기준으로 품목별 등락을 보면 서비스 분야에서 택시요금이 3.4% 상승했고 국제항공여객료 4.2%, 시외버스료 3.9%, 고속버스료 6.1%, 택배료 2.0% 등 교통요금이 상승을 주도했다.
반면 주가하락의 영향으로 펀드수수료는 11.4%, 위탁매매수수료는 18.7% 각각 내렸다.
농림수산품에서 풍작 탓으로 배추는 26.2%, 시금치는 30.8%, 돼지고기는 14.4% 떨어졌다. 반면, 닭고기는 25.7% 올랐고 조기는 35.4%, 굴은 16.8% 상승했다.
공산품에서 등유는 5.6%, 휘발유는 2.3%, 경유는 4.6%의 폭으로 각각 떨어졌다. 알루미늄괴는 13.7%, 흑철선은 11.5%의 비율로 각각 내리는 등 금속제품도 대체로 하락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