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올해 1인당 GDP, 1만6천달러대로 '폭삭'

2년 연속 급락, 4~5년 전으로 후퇴

올해 한국경제가 뒷걸음질하면서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2005년보다 못한 1만6천 달러대로 떨어질 것이 확실시된다.

8일 국내 주요 민간 연구기관들에 따르면 올해 1인당 GDP는 1만6천 달러대로 주저앉을 것으로 전망됐다. 원.달러 환율이 1,250원 안팎, 성장률이 -2% 내외가 될 것으로 예상된 데 따른 것이다.

이 경우 2007년 2만1천655달러로 2만 달러선을 돌파한 이후 2008년 1만9천106달러로 줄어든 데 이어 2년째 역성장하게 된다. 2년 연속 하락은 외환위기 당시인 1997~1998년 이후 11년만에 처음이다.

1만6천 달러대는 2004년(1만5천38달러)과 2005년(1만7천547달러)의 중간이어서 4~5년 전으로 되돌아가는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삼성경제연구소 황인성 수석연구원은 올해 평균 환율을 1,245원, 성장률을 -2.4%로 봤을 때 1인당 GDP는 1만6천738달러가 될 것으로 봤다.

그는 "올해는 마이너스 성장이 예상되는데다 환율까지 상승해 작년보다 더 떨어질 것"이라며 "정부의 성장률, 환율 전망치를 근거로 할 경우 1만6천428달러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LG경제연구원 이근태 연구위원은 환율 1,260원, 성장률 -1.7%를 기준으로 1만6천700달러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 위원은 "환율의 영향이 가장 큰 상황에서 마이너스 성장이 겹쳤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한국경제연구원 김창배 연구위원은 올해 인구를 작년과 같게 보고 환율 1,290원, 성장률 -1.9% 등으로 봤을 때 1인당 GDP를 1만6천421달러로 예상했다. 그는 "환율이 작년보다 20% 가까이 상승하는 영향이 가장 크다"고 말했다.

연구기관들은 내년 1인당 GDP가 올해보다는 나아질 것으로 봤지만 2만 달러선을 회복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장담하지 못하거나 전망을 유보했다.

이근태 위원은 "내년 환율을 1,100원, 성장률 3.6%, 디플레이터 2.0%를 기준으로 2만200달러가 될 수 있지만 2만 달러 회복을 장담하기는 어렵고 간당간당하다고 보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성장률이 마이너스이고 환율도 상승했기 때문에 1인당 GDP가 줄어드는 것은 당연하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댓글이 4 개 있습니다.

  • 4 4
    미래예측

    서민들이라는 애들 정신 차리지 않으면 비참할 뿐
    이명박 정권 초기 수출액 인위적으로 늘리려고 환율 조작 시도하다가 환투기세력과 국제금융위기에 딱 걸리면서 800억달러 정도가 날아갔는데 거의 70조원의 국부 유출이 있었다.
    지금 이게 기름값, 원자재값 등으로 시작해서 사회의 모든 비용으로 전가되면서 그대들이 70조원을 메꾸고 있는 중이니 열심히 살도록.

  • 7 2
    지나다

    노무현 정권 시절이었으면..
    조중동문 입에 거품 물고 난리 쳤을텐데..

  • 10 3
    빨리 747해봐

    GDP는 의미가 엄청많다
    일찌기 남한민족을 구하기 위하여 747의 빅카드를 들고 현해탄을 건너온 위대한 지도자 이멍박가카 만세~~~ 근데 뭐냐...ㅜㅜ

  • 8 7
    111

    GDP 는 의미가 없다.
    . 저소득층도 1인당 1만6천달러 벌지 않는다. 일자리도 없고 놀수밖에 백수도 저기에 포함되는가 ㅋ 결손가정도 포함되는건가요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