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용직 일자리, 환란이래 최저로 급감
영세상인 붕괴도 가속화, 서민층 고통 가중
일용직 근로자의 수가 외환위기 이래 최저치로 급감하고 영세 자영상인들도 급속 붕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서민들이 얼마나 벼랑 끝에 몰려 있는가를 새삼 실감케 하고 있다.
23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8월 현재 상용.임시.일용 근로자로 구성된 임금근로자 중 일용직은 전년 동월보다 13만7천명 감소한 189만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환란으로 고용 사정이 최악이었던 1999년 2월 173만6천명을 기록한 이래 가장 낮은 수치로서, 이 사이 전체 취업자 수가 1천887만3천명에서 2천362만명으로 25.2% 증가한 점을 감안하면 환란 직후보다도 상황이 더 나쁘다는 의미다.
일용직 중 남성은 101만8천명, 여성은 87만3천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각각 10만7천명, 2만9천명 감소해 남성의 경우 100만명 선마저 무너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일용직이란 고용계약기간이 1개월 미만이거나 일정한 사업장 없이 떠돌아다니면서 일한 대가를 받는 사람을 뜻한다.
자영업주와 무급가족종사자로 구성된 비임금근로자도 8월 현재 714만1천명으로 전년 동기보다 37만3천명 줄어들어 영세상인들도 급속히 붕괴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2003년 4월 -45만4천명 이후 6년 4개월 만의 최대 감소폭이다.
유형별로는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감소폭이 26만4천명에 달해 1인 자영업자의 고통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8월 현재 상용.임시.일용 근로자로 구성된 임금근로자 중 일용직은 전년 동월보다 13만7천명 감소한 189만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환란으로 고용 사정이 최악이었던 1999년 2월 173만6천명을 기록한 이래 가장 낮은 수치로서, 이 사이 전체 취업자 수가 1천887만3천명에서 2천362만명으로 25.2% 증가한 점을 감안하면 환란 직후보다도 상황이 더 나쁘다는 의미다.
일용직 중 남성은 101만8천명, 여성은 87만3천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각각 10만7천명, 2만9천명 감소해 남성의 경우 100만명 선마저 무너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일용직이란 고용계약기간이 1개월 미만이거나 일정한 사업장 없이 떠돌아다니면서 일한 대가를 받는 사람을 뜻한다.
자영업주와 무급가족종사자로 구성된 비임금근로자도 8월 현재 714만1천명으로 전년 동기보다 37만3천명 줄어들어 영세상인들도 급속히 붕괴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2003년 4월 -45만4천명 이후 6년 4개월 만의 최대 감소폭이다.
유형별로는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감소폭이 26만4천명에 달해 1인 자영업자의 고통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