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양극화 심화, '백화점↑ 대형마트↓'
상류층으로 부 집중심화, 명품 매출 폭증
백화점 매출은 계속 급증하는 반면 대형마트 매출은 감소하는 등, 소비 양극화가 날로 심화되고 있다. 돈이 한쪽으로 쏠리고 있다는 또 하나의 반증이다.
16일 지식경제부가 내놓은 '9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3대 백화점의 매출은 작년 같은 달보다 8.6% 늘어났다.
3대 백화점의 매출은 지난 3월부터 7개월 연속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9월의 매출 증가세는 지난 1월(10.4%) 이후 가장 높은 것이다.
특히 9월 백화점 매출에서 가장 호조를 보인 것은 명품으로, 작년 9월보다 21.9% 증가하며 지난 3월 이후 최고 증가세를 나타냈다. 또 가정용품(12.2%), 잡화(10.5%), 식품(9.9%) 등도 호조를 보였다.
반면에 지난달 3대 대형마트의 매출은 작년 같은 달보다 6.0% 감소했다. 3대 대형마트의 매출 감소세는 지난 6월부터 넉 달 내리 이어지고 있다.
대형마트는 최대 매출상품인 식품 매출이 4.9% 줄어든 것을 필두로, 가전.문화(-11.4%), 잡화(-11.4%), 의류(-2.5%) 등 전 분야의 매출이 감소했다.
또한 9월의 대형마트 구매건수도 작년 동기 대비 4.1% 줄어든 데 비해 백화점은 5.8% 늘어났고 1인당 구매단가도 대형마트는 2.0% 줄었으나 백화점은 2.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16일 지식경제부가 내놓은 '9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3대 백화점의 매출은 작년 같은 달보다 8.6% 늘어났다.
3대 백화점의 매출은 지난 3월부터 7개월 연속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9월의 매출 증가세는 지난 1월(10.4%) 이후 가장 높은 것이다.
특히 9월 백화점 매출에서 가장 호조를 보인 것은 명품으로, 작년 9월보다 21.9% 증가하며 지난 3월 이후 최고 증가세를 나타냈다. 또 가정용품(12.2%), 잡화(10.5%), 식품(9.9%) 등도 호조를 보였다.
반면에 지난달 3대 대형마트의 매출은 작년 같은 달보다 6.0% 감소했다. 3대 대형마트의 매출 감소세는 지난 6월부터 넉 달 내리 이어지고 있다.
대형마트는 최대 매출상품인 식품 매출이 4.9% 줄어든 것을 필두로, 가전.문화(-11.4%), 잡화(-11.4%), 의류(-2.5%) 등 전 분야의 매출이 감소했다.
또한 9월의 대형마트 구매건수도 작년 동기 대비 4.1% 줄어든 데 비해 백화점은 5.8% 늘어났고 1인당 구매단가도 대형마트는 2.0% 줄었으나 백화점은 2.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