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아베 日차기총리 "국제적 대북 압력 더욱 강화"

"북한 무조건 6자회담 복귀 안하면 상황 개선 없어"

일본의 차기 총리로 확실시되고 있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관방장관이 북한이 6자회담에 복귀하도록 국제적 압력을 더욱 높여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다니가키 재무 “대북제재 G-7 회의 안건으로 상정할 것”

15일 <교도(共同)통신>에 따르면 아베 장관은 이날 정례회견에서 “북한이 6자회담에 조건 없이 복귀하지 않으면 현재 북한이 놓인 상황이 개선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해시켜야 한다”며 경제 제재 등 대북 압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아베 장관은 또 일본 정부가 오는 19일 대북 금융제재 조치에 착수할 것이라는 언론 보도에 대해 "검토중"이라며 사실상 부인하지 않았다.

아베 장관의 발언은 일본 정부가 오는 19일 각의에서 대북 금융제재를 결정하고 곧바로 실행에 들어갈 것이라는 관측을 사실상 확인시키는 것으로, 일본 정부는 각의 결정 후 북한의 대량살상무기(WMD) 개발과 관련해 그 관계가 의심되는 단체나 개인을 대상으로 금융계좌로부터의 예금인출이나 해외에의 송금 등을 금지하고 자산을 동결하는 추가 대북 금융 제재에 나설 전망이다.

아베 장관은 전날 가진 회견에서도 대북 추가 금융제재와 관련, "안보리 결의를 적절하게 실시해 나가겠다"며 "관계 부처 사이에 준비가 착착 진행되고 있다"고 말해 대북 제재의 수위를 높이겠다는 방침을 확인했었다.

한편 다니가키 사다카즈(谷垣禎一) 재무상은 이날 각료회의 후 기자회견을 갖고 16일부터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선진 7개국(G-7)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회의에서 일본이 의장국으로서 북한에 대한 경제제재를 의제로 상정할 것이라며 “테러대책 등에 관련된 논의를 해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해, 이번 G-7 회의에서 북한 제재 문제를 다루겠다는 의지를 명확히 했다.

다니가키 재무상은 “제재의 실시는 관련 성과 청 및 국제간의 협의를 해야하며, 현 시점에서 구체적으로 결정된 것은 없다”고 밝혔다.
김홍국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