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 60% "한나라, MB 거수기로 전락"
64% "이번 예산은 실세 위한 예산", 4대강 반대여론 급증
13일 <내일신문>에 따르면 여론조사기관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예산안 강행처리 배후에 이명박 대통령의 뜻이 작용했고 한나라당은 거수기 역할만 했다는 지적에 동의하느냐'는 질문에 60.3%가 '동의한다'고 답했다.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29.3%, '잘모름' 10.4%에 그쳤다.
한나라당의 예산안 단독처리에 대해서도 '여당의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긍정적 답은 23.3%에 그친 반면, '최대한 여야가 대화와 타협을 모색했어야 한다'는 비판적 답이 72.7%로 압도적이었다.
'국회 폭력 책임'에 대해서도 한나라당이라는 응답이 41.6%로 '민주당 책임'이라는 응답 22.1%보다 배 가까이 많았다.
이번 예산이 '실세 정치인을 위한 예산이었다'는 물음에도 63.6%가 '동의한다'고 답해, '동의하지 않는다' 22.7%보다 월등하게 높았다.
그러나 예산안 사태 이후 민주당의 장외투쟁에 대해선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53.8%로, '동의한다' 37.8%보다 높아 장내투쟁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산안 날치기후 4대강 사업에 대한 비판여론도 다시 높아졌다. 4대강 사업에 찬성한다는 의견은 39.9%에 그친 반면, 반대 의견은 54.9%로 나타났다. 이는 11월 조사에서 '찬성' 47.3%, '반대' 46.1%로 팽팽했던 것보다 반대 여론이 급격히 늘어난 수치다.
한미FTA 재협상에 대해서도 '미국에 유리한 굴욕적 협상'이라는 의견이 49.3%로 과반을 차지한 반면, '이익균형을 이뤘다'는 의견은 38.3%에 그쳤다. 특히 '노무현 정부 때 협상보다 후퇴했다'는 의견이 32.1%로, '노무현 정부 때보다 개선됐다'는 의견 21.7%보다 많았다.
그러나 '국회가 비준에 동의해야 한다'는 의견(41.0%)과 '부결해야한다'는 의견(39.6%)은 엇비슷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10~11일 양일간 전국 만19세이상 성인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방식으로 진행됐고, 표본 오차는 95%신뢰수준에 ±3.5%p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