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진실화해위, '보도연맹사건' 직권조사키로

송기인 “총 1천16건 일괄 조사개시”

한국전쟁 중 일어난 대표적인 민간인 집단희생 사건인 ‘국민보도연맹사건’에 대한 직권조사가 이뤄진다.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원회)는 17일 오전 서울 중구 필동 매경미디어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보도연맹 사건 1천16건을 직권 조사한다고 밝혔다.

진실화해위가 출범한 이래 직권조사 결정을 내린 것은 이번이 처음. 진실화해위는 보도연맹 사건이 ▲한국전쟁 발발 직후 수만명이 희생된 단일사건 ▲피해규모의 집단성 ▲명령계통의 동일성 ▲처리과정의 유사성 측면에서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송기인 위원장은 “한국전쟁 전후의 국군.경찰 등 국가권력관련 민간인 집단희생 사건이 밝혀질 경우, 당시 인민군과 좌익에 의한 보복적 학살과의 연관관계도 밝혀질 것”이라고 기대를 밝혔다.

이에 따라 이미 조사개시 결정이 내려졌던 국민보도연맹 사건 2백19건과 신청이 접수된 관련사건 7백97건에 대한 일괄 조사가 개시된다.

보도연맹 사건은 한국전쟁 중 국군.경찰.CIC(방첩대) 등에 의해 최소 수만명에 이르는 민간인이 집단희생된 사건. 보도연맹은 이승만 정권 당시였던 1949년 좌익 전력자들을 사상적으로 개조한다는 취지하에 강제로 결성하고 한국전쟁 발발 직후 초기 후퇴 과정에서 이들에 대한 무차별적인 즉결 처분이 단행됐다.

남북 냉전초기였던 1948년 12월에 시행됐던 ‘국가보안법’의 대표적인 집단 희생양이기도 하다.

일부 지역에서는 국민보도연맹원의 조직원으로 할당된 인원수를 채우기 위해 과거 좌익전력이 없는 사람들까지 무분별하게 가입시켜 당시 연맹원 규모는 최소 25만에서 최대 33만명까지로 추산되고 있다.

이번에 직권조사가 결정된 주요 사건은 충북 청원 북이면 옥녀봉.충남 서산 매죽골 보도연맹 사건 등 중부지역 2백9건과 울산.창녕 보도연맹사건 등 영남지역 5백1건, 진도 갈명도.함평 보도연맹사건 등 호남지역 87건 등 총 7백97건이다.

또 이미 조사가 개시된 사건은 충북 청원진천지역 보도연맹사건 1백49건과 청원분터골.경북 청도 보도연맹사건 17건이 있다.

이에 앞서 경찰청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는 지난 9월 14일, 보도연맹 중간조사 결과 발표 기자회견에서 “경찰 전산자료 상에 나타난 보도연맹원 희생자 3천5백93명을 확인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경찰청 과거사위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학살의 집행에 군경 이외에도 CIC.미군.우익단체의 개입 사실이 일부 확인돼 보도연맹 희생자 규모는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최병성 기자

댓글이 1 개 있습니다.

  • 2 3
    지울

    퍼주기부터 조사해야지?
    안그럼 핵맞고 디질건데.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