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드폰, 설악산 2번 중 1번 먹통"
설악산-주왕산-지리산-가야산 순으로 불통률 높아
국립공원 중 이동전화가 가장 잘 터지는 곳은 어디일까. 최고는 서울시민이 가장 많이 찾는 북한산이고 최저는 전 국민이 즐겨찾는 설악산인 것으로 밝혀졌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신상진 한나라당 의원이 국립공원관리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태안해안국립공원을 제외한 17개 국립공원의 2백24개 탐방로에 설치된 총 1천9백79개소의 다목적위치 안내표지판 가운데 4백51개소에서 이동전화가 터지지 않는 것으로나 나타난 22.8%의 불통률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공원 중 불통률이 가장 높은 곳은 강원도 설악산으로 13개의 탐방로가 있는 설악산은 안내표지판이 설치된 1백70개 지점 가운데 77군데에서 이동전화가 걸리지 않아 45% 불통률을 보였다. 이어 경북 주왕산(44.7%), 전남 지리산(36.4%), 경남 가야산(34.2%) 순이었다.
국립공원 중 가장 낮은 불통률을 보이고 있는 서울 북한산은 66개 탐방로에 설치된 2백39개 안내표지판 설치 지점 가운데 19군데에서만 전화가 걸리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신 의원은 이와 관련해 "최근 5년간 설악산에서 1천9백90명, 북한산에서는 6백91명 등이 안전사고를 당했다"며 "안전사고가 급증하고 이쓴 현실을 반영해 보다 적실성 있는 재난구호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며 관계기관의 대책을 촉구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신상진 한나라당 의원이 국립공원관리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태안해안국립공원을 제외한 17개 국립공원의 2백24개 탐방로에 설치된 총 1천9백79개소의 다목적위치 안내표지판 가운데 4백51개소에서 이동전화가 터지지 않는 것으로나 나타난 22.8%의 불통률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공원 중 불통률이 가장 높은 곳은 강원도 설악산으로 13개의 탐방로가 있는 설악산은 안내표지판이 설치된 1백70개 지점 가운데 77군데에서 이동전화가 걸리지 않아 45% 불통률을 보였다. 이어 경북 주왕산(44.7%), 전남 지리산(36.4%), 경남 가야산(34.2%) 순이었다.
국립공원 중 가장 낮은 불통률을 보이고 있는 서울 북한산은 66개 탐방로에 설치된 2백39개 안내표지판 설치 지점 가운데 19군데에서만 전화가 걸리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신 의원은 이와 관련해 "최근 5년간 설악산에서 1천9백90명, 북한산에서는 6백91명 등이 안전사고를 당했다"며 "안전사고가 급증하고 이쓴 현실을 반영해 보다 적실성 있는 재난구호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며 관계기관의 대책을 촉구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