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우용 "1993년 서해훼리호 참사, 국가기록원 기록 보니..."
"한국이 퇴보중이라는 명백한 증거"
"인명피해 사망 292명(승선인원 362명, 70명 구조), 재산피해는 선박 1척 소실. 서해훼리호 침몰사고는 당시 신문을 비롯한 각 언론 매체에서 ‘후진국에서나 있을 수 있는 실로 어처구니없는 일’로 보도되어 온 국민의 관심을 집중시켰다."
"사고원인이 밝혀질수록 국민들의 실망은 더욱 깊어졌다. 당국의 관리감독도 형식적으로 이뤄져 있었다. 기상체크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선장은 자질이 부족했고, 항해사는 휴가 중이라 업무를 갑판장이 대신했다. 안전요원은 단 2명이었다."
"사고 직후 위급상황을 알려준 사람도 없었고, 해난 구조체계에도 구멍이 뚫려 있었다. 경찰헬기는 신고 접수 후 30분 뒤에 출동했고, 군산해양경찰서 소속경비함정은 사고현장에 1시간 뒤에 도착, 시체 인양 정도로 만족해야 했다."
"향후 유사 사고의 대책으로는 승선인원의 철저한 확인 및 승선인원 통제 등 철저한 안전대책이 요구되며, 소방측면에 있어서 구조수색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장비확보와 수중작업이 가능한 전문 인력 양성 등의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전우용 역사학자는 24일 트위터를 통해 "이상 서해훼리호 참사에 대한 ‘국가기록원’의 공식 기록"이라며 "이번 참사와 다른 점이 얼마나 될까요? 1993년에도 ‘후진국에서나 있을 수 있는 일’이라 했는데, 그 일이 2014년에 또 일어났습니다. 한국이 퇴보 중이라는 명백한 증거"라고 탄식했다.
그는 이어 "이명박정부도 박근혜정부도, '규제완화'가 '선진화'라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그 규제완화가 '이윤의 사유화, 위험과 비용의 사회화'라는 '후진성'만 강화한 건 아닌지요. 기업들의 눈엣가시만 뽑아주려다간, 국민들 가슴에 대못을 박을 수 있습니다"라며 규제완화가 세월호 참사의 근원 중 하나임을 지적했다.
그는 또한 "'구조 수색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장비 확보와 수중 작업이 가능한 전문 인력 양성'. 이것만 제대로 했어도 이번 참사의 피해, 크게 줄일 수 있었을 겁니다"라며 "국민의 안전 불감증이라구요? 중증 안전불감증 환자는 정부입니다"라고 질타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