탱크로리 전도 황산 2천ℓ 누출…일부 낙동강 유입
경북도 "낙동강 수질 아직은 정상"
5일 오후 4시 35분께 경북 봉화군 석포면 석포3리 910번 지방도로에서 황산을 실은 탱크로리(운전사 조모씨·53)가 도로 옆 1m 아래로 떨어지며 넘어졌다.
사고로 황산 2천ℓ 정도가 흘러나왔고 일부는 낙동강 상류로 들어가 소방당국과 행정당국이 긴급 방제를 하고 있다.
25t 규모의 탱크로리에 실린 황산 2만ℓ 가운데 10%가량 누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트럭은 왕복 2차로에서 가드레일을 들이받고 도로 옆으로 구르며 탱크로리 윗부분이 파손했다. 게다가 탱크로리 뚜껑이 열려 황산이 새나왔다.
경북도는 누출된 2천ℓ 가운데 1천800ℓ 정도는 도로 주변 땅에 스며들었고 나머지 200ℓ정도가 낙동강 본류 상류로 흘러들었다고 밝혔다.
사고가 난 도로와 낙동강은 20여m 떨어져 있다.
경북도 등은 소석회로 중화처리를 하는 등 오염된 흙을 제거하는 한편, 방제 둑 20여m를 쌓아 황산이 낙동강으로 흘러드는 것을 막고 있다.
토양에 남아 있는 황산은 흡입차로 수거해 석포제련소 안 황산처리시설에서 중화처리할 예정이다.
또 낙동강 수질 검사를 계속 실시하고 물고기 폐사 등 피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순찰을 강화하고 있다.
탱크로리는 인근 석포제련소에서 황산을 싣고 가던 길이었고 운전사는 가벼운 상처를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석포제련소를 출발한 탱크로리가 경기도 양주의 업체로 가다가 50m 정도 지나 언덕길에서 뒤로 미끄러지면서 가드레일을 들이받고 전도했다"는 조씨 말에 따라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경북도 관계자는 "하천에 흘러든 황산은 물이 많아 희석돼 별다른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본다"며 "사고가 난 곳에서 하류로 100m와 200m 지점에서 수질을 측정한 결과 수소이온농도(pH)가 7로 나와 정상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보통 하천 수소이온농도는 6∼8이며, 만약 황산이 많이 흘러들었으면 6이하로 나온다.
대구환경청 수질관리과 김인석 팀장은 "황산이 다량으로 강물에 곧바로 유입됐다면 물고기가 죽는 등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며 "그러나 현재 상황으로 볼 때 황산이 강물에 바로 들어온 것이 아니고 양도 적어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대구환경청은 앞으로 2∼3일간 사고현장 인근과 낙동강 하류에서 수소이온농도를 측정해 이상이 있는지를 파악할 계획이다.
사고로 황산 2천ℓ 정도가 흘러나왔고 일부는 낙동강 상류로 들어가 소방당국과 행정당국이 긴급 방제를 하고 있다.
25t 규모의 탱크로리에 실린 황산 2만ℓ 가운데 10%가량 누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트럭은 왕복 2차로에서 가드레일을 들이받고 도로 옆으로 구르며 탱크로리 윗부분이 파손했다. 게다가 탱크로리 뚜껑이 열려 황산이 새나왔다.
경북도는 누출된 2천ℓ 가운데 1천800ℓ 정도는 도로 주변 땅에 스며들었고 나머지 200ℓ정도가 낙동강 본류 상류로 흘러들었다고 밝혔다.
사고가 난 도로와 낙동강은 20여m 떨어져 있다.
경북도 등은 소석회로 중화처리를 하는 등 오염된 흙을 제거하는 한편, 방제 둑 20여m를 쌓아 황산이 낙동강으로 흘러드는 것을 막고 있다.
토양에 남아 있는 황산은 흡입차로 수거해 석포제련소 안 황산처리시설에서 중화처리할 예정이다.
또 낙동강 수질 검사를 계속 실시하고 물고기 폐사 등 피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순찰을 강화하고 있다.
탱크로리는 인근 석포제련소에서 황산을 싣고 가던 길이었고 운전사는 가벼운 상처를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석포제련소를 출발한 탱크로리가 경기도 양주의 업체로 가다가 50m 정도 지나 언덕길에서 뒤로 미끄러지면서 가드레일을 들이받고 전도했다"는 조씨 말에 따라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경북도 관계자는 "하천에 흘러든 황산은 물이 많아 희석돼 별다른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본다"며 "사고가 난 곳에서 하류로 100m와 200m 지점에서 수질을 측정한 결과 수소이온농도(pH)가 7로 나와 정상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보통 하천 수소이온농도는 6∼8이며, 만약 황산이 많이 흘러들었으면 6이하로 나온다.
대구환경청 수질관리과 김인석 팀장은 "황산이 다량으로 강물에 곧바로 유입됐다면 물고기가 죽는 등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며 "그러나 현재 상황으로 볼 때 황산이 강물에 바로 들어온 것이 아니고 양도 적어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대구환경청은 앞으로 2∼3일간 사고현장 인근과 낙동강 하류에서 수소이온농도를 측정해 이상이 있는지를 파악할 계획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