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국회 본회의 19일과 23일 개최 합의
선거구 획정과 쟁점법안 합의 도출 불발
여야는 쟁점법안 처리를 위한 국회 본회의를 오는 19일과 23일에 열기로 합의했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 양당 원유철·이종걸 원내대표, 김정훈·이목희 정책위의장, 조원진·이춘석 원내수석부대표는 10일 오후 국회에서 회동을 열고 이같이 합의했다.
이에 앞서 원내지도부들이 임시국회 진행 논의와 쟁점법안, 선거구획정 협상을 벌였고, 이어 한 시간 가량은 김무성 대표와 김종인 비대위원장이 배석해 함께 논의했다.
문정림 새누리당·김기준 더민주 원내대변인은 회동 직후 브리핑을 통해 이같은 합의 사실을 밝혔다.
또한 교섭단체대표 연설은 새누리당이 15일, 더민주는 16일에 하고, 17일과 18일에는 각각 경제분야와 비경제분야로 나눠 대정부질문을 하기로 했다.
문 원내대변인은 “쟁점법안이었던 북한인권법, 테러방지법, 서비스산업발전법, 노동 4법을 비롯한 선거구획정을 2월 임시국회에서 처리하기로 최대한 노력하기로 했다”고 밝혔으나, 김 원내대변인은 “향후 계속 논의하는 과정에서 대중소기업상생법과 사회적경제기본법도 같이 논의해야 진전이 있을 거라는 점을 강조했다”고 강조했다.
김 원내대변인은 선거구획정과 관련, “선거법이 대단히 중요하기 때문에 2월 임시국회서 처리해야 한다는 점에서는 거의 공감을 이루고 있다. 빠른 시일 내 처리해야 한다는 데 이견이 없었다”고 전했다.
한편 정의당 정진후·김제남·박원석 의원은 회동장을 찾아 선거구 획정의 잠정합의에 대해 유감을 했다.
정진후 의원은 “지역구 253석으로 합의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언론 보도가 나오고 있다”며 “비례의석수 7석을 줄이게 된다고 하면 단순 다수 득표, 승자독식의 구조를 통해 절반 가까운 표심이 휴지통에 버려지는 현상에 대한 입장도 국민 앞에 밝혀야 된다”고 주장했다.
김제남 의원도 “양당이 논의하고 있는 선거구획정 비례대표 7석을 줄인다고 하는 것은 그야말로 소수당의 권리를 짓밟고 있는 것”이라며 “사회, 경제적 약자와 소수당의 권리가 지켜져야 된다”고 강조했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 양당 원유철·이종걸 원내대표, 김정훈·이목희 정책위의장, 조원진·이춘석 원내수석부대표는 10일 오후 국회에서 회동을 열고 이같이 합의했다.
이에 앞서 원내지도부들이 임시국회 진행 논의와 쟁점법안, 선거구획정 협상을 벌였고, 이어 한 시간 가량은 김무성 대표와 김종인 비대위원장이 배석해 함께 논의했다.
문정림 새누리당·김기준 더민주 원내대변인은 회동 직후 브리핑을 통해 이같은 합의 사실을 밝혔다.
또한 교섭단체대표 연설은 새누리당이 15일, 더민주는 16일에 하고, 17일과 18일에는 각각 경제분야와 비경제분야로 나눠 대정부질문을 하기로 했다.
문 원내대변인은 “쟁점법안이었던 북한인권법, 테러방지법, 서비스산업발전법, 노동 4법을 비롯한 선거구획정을 2월 임시국회에서 처리하기로 최대한 노력하기로 했다”고 밝혔으나, 김 원내대변인은 “향후 계속 논의하는 과정에서 대중소기업상생법과 사회적경제기본법도 같이 논의해야 진전이 있을 거라는 점을 강조했다”고 강조했다.
김 원내대변인은 선거구획정과 관련, “선거법이 대단히 중요하기 때문에 2월 임시국회서 처리해야 한다는 점에서는 거의 공감을 이루고 있다. 빠른 시일 내 처리해야 한다는 데 이견이 없었다”고 전했다.
한편 정의당 정진후·김제남·박원석 의원은 회동장을 찾아 선거구 획정의 잠정합의에 대해 유감을 했다.
정진후 의원은 “지역구 253석으로 합의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언론 보도가 나오고 있다”며 “비례의석수 7석을 줄이게 된다고 하면 단순 다수 득표, 승자독식의 구조를 통해 절반 가까운 표심이 휴지통에 버려지는 현상에 대한 입장도 국민 앞에 밝혀야 된다”고 주장했다.
김제남 의원도 “양당이 논의하고 있는 선거구획정 비례대표 7석을 줄인다고 하는 것은 그야말로 소수당의 권리를 짓밟고 있는 것”이라며 “사회, 경제적 약자와 소수당의 권리가 지켜져야 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