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론으로 사드 한국배치에 강력 반대해온 국민의당이 추석 연휴후 본격적으로 '출구전략'을 모색하기 시작한 양상이다.
안철수 국민의당 전 대표는 18일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대북(對北) 관계는 명백한 제재 국면이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되며, 이런 제재가 효과를 발휘하려면 중국의 참여가 필수적"이라며 "(사드를) 핵개발을 거듭하고 있는 북한 제재에 중국을 끌어들이기 위한 도구로 써야 한다. 중국이 대북 제재를 거부한다면 자위적 조치로서 사드 배치에 명분이 생기는 것"이라고 말했다.
<조선일보>는 "이같은 입장은 그간 안 의원을 비롯한 국민의당이 당론으로 사드 배치에 반대해왔던 것과 비교하면 달라진 것"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안 전 대표는 "당 지도부와 상의하지 않은 제 개인의 생각"이라며 "중국이 대북 제재에 협조한다면 사드 배치를 철회하는 수순을 밟되…"라는 전제를 달았다. 그는 "그간 (내가) 사드 배치에 반대했던 것은 대북 제재의 실효적 축이 되는 중국과의 외교적 협상을 생략하고 갑자기 발표했던 것 때문"이라며 "정부가 한 '스텝'을 빼먹으면서 많은 걸 잃었는데 북한이 5차 핵실험까지 실시한 지금은 중국, 미국과 물밑 협상을 통해 새 활로를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안 전 대표외에 다른 국민의당 의원들도 서서히 사드 배치 반대 당론의 재검토 필요성을 거론하기 시작했다.
김관영 국민의당 원내대표 직무대행도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사드반대 당론에 대해 "북한 핵실험이나 SLBM(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발사 이후 사드배치에 대한 국민적 여론이 좀 더 찬성 쪽으로 많이 기운 게 사실"이라며 "당에서도 어떻든 이 문제에 대해 한 번 더 논의를 해야 하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생각한다"고 당론 재검토를 주장했다.
그는 "(사드반대 당론은) 저희가 굉장히 집단토론을 하고 집단지성을 모아 만든 결론이나 안보문제에 관해 국론이 분열되는 데 대해 국민들이 한편으로 굉장히 우려하는 게 사실"이라며 "저희가 이 문제에 대해 전체적으로 의원들의 의견을 물어볼 필요가 있다"고 재차 재검토를 주장했다.
방미중인 박지원 비대위원장은 19일 페이스북을 통해 "중의 동참없는 제재는 앙꼬없는 찐빵"이라며 "미국이 사드를 지렛대로 제재 동참으로 중이 북을 압박하고 북미 수교, 우리가 대북 지원을 한다면 김정은도 견디지 못한다"며 미국이 사드 한국배치를 대중 압박의 지렛대로 사용해줄 것을 주문했다.
하지만 중국은 북핵 개발에도 반대하나 사드 한국배치 역시 절대로 용인할 수 없다는 단호한 입장이어서, 이같은 국민의당 고위층의 일련의 발언은 사실상 사드반대 당론에서 출구를 찾기 위한 행보로 받아들여지면서 파장을 예고하고 있다.
핵무장이니 선제타격론이니 하는 여권의 안보포퓰리즘도 문제지만 야권의 투항적 안보포퓰리즘도 문제다 이미 천안함과 NLL 때도 줏대없이 여론에 우왕좌왕하다가 정권의 공작적 안보 공세에 일방적으로 당했다 이번 사드배치문제에서도 결국 국민들에게 불신감만 안기면서 안보포퓰리즘에 굴복 투항하고 있다 야권에 전략적 사고를 갖춘 전략가가 이렇게도 없단 말인가?
핵으로 남한만을 선제타격하고 압도적인 재래식 전력으로 남한을 강점한다는 것이다. 300㎜ 신형 방사포와 장사정포를 비무장지대(DMZ) 인근에 전진배치해 순식간에 남한을 점령한다는...이런 상황인데 반대만 하고...임진년의 교훈도 잊고...한심한 민족 정어리 아가리로 먹히는 날만 남았다.
사드 문제가 어려운 점이 바로 이 부분. 운신의 폭이 좁다. 더민주가 전략적 모호성을 유지하던 이유가 여기에 있다. 국민의당이 뒤늦게 출구전략을 찾는 상황이 된건 한심하지만 그래도 마냥 버티는 것보단 나을 가능성이 높다. 애초에 첫단추를 잘못 끼워 골치거리를 만든 닭이 문제지.
그새 지시를 받았나 보네.. 사드가 중국을 겨냥한 무기라는것을 다 알고 배치를 반대해놓고는 이제와서 생뚱맞게 북한을 핑계로 배치를 찬성한다?? 너희같은 변절자들 보다는 차라리 새누리가 더 양심적이다!!! 전라도 사람들도 이제 맛이 간거 같다... 하기는 이 맛간 세상에 그네들만 멀쩡하길 바란 우리의 욕심이 과한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