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경선룰, ‘전국위원 투표’로 결정?
김형오 "전국위원회서 결정하자" 제안
김형오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7일 경선 룰 갈등과 관련, 이명박-박근혜 양진영이 요구하는 안을 당 전국위원회 안건으로 올려 최종 경선 룰을 결정하자고 제안해 양 진영의 수용 여부가 주목된다. 양측간의 격한 대립으로 강재섭 대표 단독으로 중재안을 결정하기 힘든 상황에서의 일종의 복안인 셈.
김 원내대표는 이 날 오전 서울 염창동 당사에서 최고위 직후 기자실을 찾아 “전국위원회만이 여기에 대해 권의있게 유효있게 실질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고 주장하며 이같이 밝혔다.
당 전국위는 전당대회의 소집이 곤란한 경우 그 기능을 대행하거나 당 기본정책의 채택과 개정, 기타 주요 당무에 관한 심의.의결 기능을 갖고있다. 최근 물러난 전여옥, 강창희 최고위원의 후임자도 전국위에서 선출하게 돼 있다.
1천명 이내로 구성되는 전국위는 당 대표, 최고위원, 당 소속 국회의원 들이 전국위원으로 포진해 있다. 특히 당원협의회 운영위원장, 당소속 자치구.시.군 자치단체장, 당소속 시.도의회 대표의원, 당소속 자치구.시.군의회 의장 등도 전국위원에 포함된다. 이른바 핵심 대의원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김 원내대표는 전국위에 상정할 경선 룰 안건은 5가지 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김 원내대표의 주장에 따르면 ▲현 규정대로 여론조사를 하자는 박근혜안 ▲4만명 고정표를 요구하는 이명박안 ▲대의원 투표율에 여론조사 반영비율을 연동하는 안 ▲대의원, 책임당원 평균투표율을 여론조사에 연동하는 안 ▲대의원, 국민참여선거인단 평균 투표율을 여론조사 반영비율에 연동하는 안 등이다.
그는 “이렇게 모두 합해봐야 5가지 안 외에는 없다”고 전제한 뒤, “이들 5개 안건중 전혀 가능성이 없는 1~2개안을 버리고 나머지 3~4개안을 전국위에 올려, 1차 투표에서 과반수 의결이 안되면 다시 2차 결선 투표에서 최종 1, 2안을 가지고 결선 투표로 경선 룰을 채택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이같은 자신의 제안을 이 날 오전 최고위 직전 강 대표에게도 언급했지만 강 대표는 공개적인 석상에서 언급하지 말아달라고 김 원내대표에게 요청했다.
한편 김 원대 대표는 경선 룰이 확정되는 대로 사퇴할 뜻임을 분명히했다. 그는 “전국위원회를 통해 결정되면 저는 경선 룰에 관해서 당의 입장이 전해지면 사퇴하는 것이 도리”라고 밝혔다. 그는 또 강 대표 등 나머지 지도부에 대해서도 “우리가 새 술은 새 부대에 부어야 한다는 그런 입장을 가져야만 국민에게 새로운 기대를 줄 수가 있다”며 경선 룰 확정후 지도부 전원사퇴를 요구했다.
그는 지도부 총사퇴후 일정표에 대해서는 “조기 전당대회나 비상대책위나 어느 것이든 간에 지금에서는 경선룰 확정과 더불어 당의 면모가 일신돼야 한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원내대표의 경선 룰과 관련한 이같은 제안은 물론 강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의 부담을 덜어주려는 측면이 있으나, 구사일생한 지도부가 또다시 다른 쪽에 결정권을 떠 넘긴다는 곱지 않은 시선도 있다.
또 막상 경선 룰이 전국위에서 투표를 통해 결정될 경우, 당협위원장, 국회의원, 자치단체장 등 양 대권 주자들의 격한 세 몰이 등 심각한 부작용도 배제할 수 없는 처지다.
김 원내대표는 이 날 오전 서울 염창동 당사에서 최고위 직후 기자실을 찾아 “전국위원회만이 여기에 대해 권의있게 유효있게 실질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고 주장하며 이같이 밝혔다.
당 전국위는 전당대회의 소집이 곤란한 경우 그 기능을 대행하거나 당 기본정책의 채택과 개정, 기타 주요 당무에 관한 심의.의결 기능을 갖고있다. 최근 물러난 전여옥, 강창희 최고위원의 후임자도 전국위에서 선출하게 돼 있다.
1천명 이내로 구성되는 전국위는 당 대표, 최고위원, 당 소속 국회의원 들이 전국위원으로 포진해 있다. 특히 당원협의회 운영위원장, 당소속 자치구.시.군 자치단체장, 당소속 시.도의회 대표의원, 당소속 자치구.시.군의회 의장 등도 전국위원에 포함된다. 이른바 핵심 대의원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김 원내대표는 전국위에 상정할 경선 룰 안건은 5가지 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김 원내대표의 주장에 따르면 ▲현 규정대로 여론조사를 하자는 박근혜안 ▲4만명 고정표를 요구하는 이명박안 ▲대의원 투표율에 여론조사 반영비율을 연동하는 안 ▲대의원, 책임당원 평균투표율을 여론조사에 연동하는 안 ▲대의원, 국민참여선거인단 평균 투표율을 여론조사 반영비율에 연동하는 안 등이다.
그는 “이렇게 모두 합해봐야 5가지 안 외에는 없다”고 전제한 뒤, “이들 5개 안건중 전혀 가능성이 없는 1~2개안을 버리고 나머지 3~4개안을 전국위에 올려, 1차 투표에서 과반수 의결이 안되면 다시 2차 결선 투표에서 최종 1, 2안을 가지고 결선 투표로 경선 룰을 채택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이같은 자신의 제안을 이 날 오전 최고위 직전 강 대표에게도 언급했지만 강 대표는 공개적인 석상에서 언급하지 말아달라고 김 원내대표에게 요청했다.
한편 김 원대 대표는 경선 룰이 확정되는 대로 사퇴할 뜻임을 분명히했다. 그는 “전국위원회를 통해 결정되면 저는 경선 룰에 관해서 당의 입장이 전해지면 사퇴하는 것이 도리”라고 밝혔다. 그는 또 강 대표 등 나머지 지도부에 대해서도 “우리가 새 술은 새 부대에 부어야 한다는 그런 입장을 가져야만 국민에게 새로운 기대를 줄 수가 있다”며 경선 룰 확정후 지도부 전원사퇴를 요구했다.
그는 지도부 총사퇴후 일정표에 대해서는 “조기 전당대회나 비상대책위나 어느 것이든 간에 지금에서는 경선룰 확정과 더불어 당의 면모가 일신돼야 한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원내대표의 경선 룰과 관련한 이같은 제안은 물론 강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의 부담을 덜어주려는 측면이 있으나, 구사일생한 지도부가 또다시 다른 쪽에 결정권을 떠 넘긴다는 곱지 않은 시선도 있다.
또 막상 경선 룰이 전국위에서 투표를 통해 결정될 경우, 당협위원장, 국회의원, 자치단체장 등 양 대권 주자들의 격한 세 몰이 등 심각한 부작용도 배제할 수 없는 처지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