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대사관 "열린당에 로드맵 거론 안해"
열린당 "면담내용 모두 사실" 재반박
주한 미국 대사관이 11일 알렉산더 버시바우 대사가 열린우리당 의원들과 만나 9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전 한국전 종전선언, 내년 5월까지 북미수교라는 로드맵을 밝혔다는 열린우리당측 면담록 공개와 관련, "어떤 시간계획도 제시하지 않았다"고 반박하고 나섰다. 이에 대해 해당 의원들은 면담록에 공개한 버시바우 대사의 발언이 모두 사실이라고 재반박했다.
미대사관 "미국정부, 어떤 이정표도 갖고 있지 않다"
미 대사관은 이날 오후 '주한미국대사관 배경설명' 자료를 내고 “미국 정부는 6자회담 합의를 뛰어넘는 어떤 이정표도 갖고 있지 않다”며 “미국 정부가 평화협정을 위한 대화의 시작과 끝의 시간계획을 제시했다는 보도는 정확하지 않다는 점을 명확하게 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미 대사관은 “영구평화체제에 대한 협상과 양국관계 정상화에 대한 협상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협상과 함께 이뤄져야만 가능하다”며 “영구평화체제와 양국관계 정상화 협상의 종료는 북한이 핵무기와 현재의 핵프로그램을 완전하게 포기할 때만 고려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열린당 의원들 “버시바우 발언 사실”
이에 대해 면담록을 공개했던 김종률 의원은 12일 본지와 통화에서 “면담록에 제시된 버시바우 대사의 발언은 당시 현장에서 통역을 통해 면밀하게 검토한 뒤 공개하기로 한 것으로, 면담 내용에 나온 대화 팩트는 모두 그대로이며 미 대사관에도 이 면담록을 그대로 보내줬다”고 반박했다.
김 의원은 “버시바우 대사가 면담에서 ‘미국은 APEC 앞두고 한국전을 공식적으로 종료하고 영구적 평화체제 협정에 서명할 준비가 되어 있다. 북미수교의 프로세스를 시작할 준비가 되어 있다. 30일 이내에 정상화실무그룹이 활동을 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런 프로세스는 비핵화, 평화체제 협상과 함께 가야 한다. 내년 비슷한 시기에 종료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한 말은 모두 사실”이라며 “면담록 공개 후 버시바우 대사의 발언이 북한의 비핵화를 전제로 한다는 것도 설명했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버시바우 대사가 면담과정에서 밝힌 ‘북미수교 프로세스 시작 준비가 돼있고, 30일 이내에 정상화실무그룹이 활동을 개시할 수 있을 것’이라는 발언이 현실화되면 1차적으로 남북정상회담으로 이어지는 성과로 연계될 조건이 성숙되는 것”이라며 “한반도의 상황이 급진전되면 남북정상회담 가능성이 높아지고, APEC에서 3개국 정상이 모인 데 이어 김정일 국방 위원장이 이를 받아들이면 자연스럽게 4자회담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는 유력한 시나리오를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4자 회담의 경우 남북정상회담과 달리 미국과 중국 등 2개국 정상이 추가돼야 하므로 쉬운 것은 아니며, 4자회담의 개최될 개연성이 높다고 밝힌 적이 없다”며 “버시바우 대사 면담과 관계 없이 한반도 내외정세의 진전을 보면서 남북정상회담과 4개국 정상회담이 개최될 수 있는 정세 진전에 대한 전망을 모색하고 점검하고 있으며, 버시바우 대사의 발언에 기대어 일을 진행하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방미중인 이해찬 전 총리가 관계국들과의 협의를 통해 남북정상회담 등을 할 수 있는 조건을 점검하고 모색한 뒤 귀국하면 현재 진행중인 사안들에 대한 결과를 다시 한번 함께 내놓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미대사관 "미국정부, 어떤 이정표도 갖고 있지 않다"
미 대사관은 이날 오후 '주한미국대사관 배경설명' 자료를 내고 “미국 정부는 6자회담 합의를 뛰어넘는 어떤 이정표도 갖고 있지 않다”며 “미국 정부가 평화협정을 위한 대화의 시작과 끝의 시간계획을 제시했다는 보도는 정확하지 않다는 점을 명확하게 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미 대사관은 “영구평화체제에 대한 협상과 양국관계 정상화에 대한 협상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협상과 함께 이뤄져야만 가능하다”며 “영구평화체제와 양국관계 정상화 협상의 종료는 북한이 핵무기와 현재의 핵프로그램을 완전하게 포기할 때만 고려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열린당 의원들 “버시바우 발언 사실”
이에 대해 면담록을 공개했던 김종률 의원은 12일 본지와 통화에서 “면담록에 제시된 버시바우 대사의 발언은 당시 현장에서 통역을 통해 면밀하게 검토한 뒤 공개하기로 한 것으로, 면담 내용에 나온 대화 팩트는 모두 그대로이며 미 대사관에도 이 면담록을 그대로 보내줬다”고 반박했다.
김 의원은 “버시바우 대사가 면담에서 ‘미국은 APEC 앞두고 한국전을 공식적으로 종료하고 영구적 평화체제 협정에 서명할 준비가 되어 있다. 북미수교의 프로세스를 시작할 준비가 되어 있다. 30일 이내에 정상화실무그룹이 활동을 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런 프로세스는 비핵화, 평화체제 협상과 함께 가야 한다. 내년 비슷한 시기에 종료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한 말은 모두 사실”이라며 “면담록 공개 후 버시바우 대사의 발언이 북한의 비핵화를 전제로 한다는 것도 설명했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버시바우 대사가 면담과정에서 밝힌 ‘북미수교 프로세스 시작 준비가 돼있고, 30일 이내에 정상화실무그룹이 활동을 개시할 수 있을 것’이라는 발언이 현실화되면 1차적으로 남북정상회담으로 이어지는 성과로 연계될 조건이 성숙되는 것”이라며 “한반도의 상황이 급진전되면 남북정상회담 가능성이 높아지고, APEC에서 3개국 정상이 모인 데 이어 김정일 국방 위원장이 이를 받아들이면 자연스럽게 4자회담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는 유력한 시나리오를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4자 회담의 경우 남북정상회담과 달리 미국과 중국 등 2개국 정상이 추가돼야 하므로 쉬운 것은 아니며, 4자회담의 개최될 개연성이 높다고 밝힌 적이 없다”며 “버시바우 대사 면담과 관계 없이 한반도 내외정세의 진전을 보면서 남북정상회담과 4개국 정상회담이 개최될 수 있는 정세 진전에 대한 전망을 모색하고 점검하고 있으며, 버시바우 대사의 발언에 기대어 일을 진행하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방미중인 이해찬 전 총리가 관계국들과의 협의를 통해 남북정상회담 등을 할 수 있는 조건을 점검하고 모색한 뒤 귀국하면 현재 진행중인 사안들에 대한 결과를 다시 한번 함께 내놓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