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분기 실질 국민소득 도리어 '감소', 체감경기 악화
한은 예상치보다 더 악화, 교역여건 악화가 주범
올해 1.4분기 실질 국민총소득(GNI) 성장률이 1년 만에 전분기보다 도리어 줄어들었다. 외형적 성장과는 달리 실속은 전혀 거두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어서, 최근의 주가 급등 등에 상당한 거품이 끼어있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한국은행이 1일 발표한 `2007년 1.4분기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물가 등을 감안한 국민경제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내는 1.4분기 실질GNI 증가율은 전분기 대비 0.9% 감소했다. 이는 지난 4월 발표한 한은의 속보치 0.7%보다 더 하락한 것으로, 실물경제가 예상보다 더 나빠졌음을 의미한다.
실질 GNI 증가율이 전분기 대비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작년 1.4분기의 -0.5% 이후 처음이다.
실질 GNI가 뒷걸음친 것은 실질 무역손실액이 전분기 16조원에서 18조5천억원으로 확대되고 해외이자과 배당손익 등 실질 국외순수취 요소소득도 7천억원 적자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1분기 실질 GDP는 전분기보다 0.9% 성장해 지난 4월 발표된 속보치 0.9%와 같았으며, 전년 동기 대비로는 4.0% 성장했다.
그러나 제조업은 반도체 등 전기전자 업종의 부진으로 0.9% 감소해 2003년 1분기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건설업은 토목건설이 호조를 보이면서 1.4% 성장했고 서비스업은 운수창고 및 통신업, 금융보험업 등을 중심으로 1.2% 상승했다.
지출항목별로는 민간소비가 승용차, TV, 에어컨 등 내구재에 대한 지출이 크게 증가하고 금융, 보험 등 서비스에 대한 지출도 호조를 보이면서 전분기 대비 1.5% 증가했다.
설비투자는 기계류 및 운수장비 투자가 모두 늘어 전분기 대비 4.4% 늘었고, 건설투자는 주거용 건물건설과 토목건설 중심으로 0.8% 성장했다.
한은 관계자는 "반도체 수출 가격 하락, 유가상승 등 교역조건 변화로 실질 무역손실이 전분기보다 확대됐다"면서 "그러나 2분기에는 반도체 가격 하락이 둔화하고 유가 안정세가 유지되면서 지표경기와 체감경기 격차도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국은행이 1일 발표한 `2007년 1.4분기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물가 등을 감안한 국민경제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내는 1.4분기 실질GNI 증가율은 전분기 대비 0.9% 감소했다. 이는 지난 4월 발표한 한은의 속보치 0.7%보다 더 하락한 것으로, 실물경제가 예상보다 더 나빠졌음을 의미한다.
실질 GNI 증가율이 전분기 대비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작년 1.4분기의 -0.5% 이후 처음이다.
실질 GNI가 뒷걸음친 것은 실질 무역손실액이 전분기 16조원에서 18조5천억원으로 확대되고 해외이자과 배당손익 등 실질 국외순수취 요소소득도 7천억원 적자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1분기 실질 GDP는 전분기보다 0.9% 성장해 지난 4월 발표된 속보치 0.9%와 같았으며, 전년 동기 대비로는 4.0% 성장했다.
그러나 제조업은 반도체 등 전기전자 업종의 부진으로 0.9% 감소해 2003년 1분기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건설업은 토목건설이 호조를 보이면서 1.4% 성장했고 서비스업은 운수창고 및 통신업, 금융보험업 등을 중심으로 1.2% 상승했다.
지출항목별로는 민간소비가 승용차, TV, 에어컨 등 내구재에 대한 지출이 크게 증가하고 금융, 보험 등 서비스에 대한 지출도 호조를 보이면서 전분기 대비 1.5% 증가했다.
설비투자는 기계류 및 운수장비 투자가 모두 늘어 전분기 대비 4.4% 늘었고, 건설투자는 주거용 건물건설과 토목건설 중심으로 0.8% 성장했다.
한은 관계자는 "반도체 수출 가격 하락, 유가상승 등 교역조건 변화로 실질 무역손실이 전분기보다 확대됐다"면서 "그러나 2분기에는 반도체 가격 하락이 둔화하고 유가 안정세가 유지되면서 지표경기와 체감경기 격차도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