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미래 “이인영의 억지 주장에 유감”
“우리 경제 어려움은 과장 아닌 현실”
바른미래당은 3일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의 교섭단체 대표연설에 대해 “야당이 현재의 경제상황을 정략적으로 과장하고, ‘실정’과 ‘파국’으로 매도하고 있다는 그의 억지 주장엔 유감을 표한다”고 비판했다.
김수민 바른미래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공존의 정치’로 나아가자는 총론에 있어 전적으로 동의하며 상시 국회체제와 국민소환제 도입 역시 검토해볼만한 제안이라 생각한다”면서도 이같이 말했다.
그는 특히 “소득주도성장, 최저임금 등의 실책들이 빚어낸 우리 경제의 어려움은 ‘과장’이 아니라 ‘현실’”이라며 “대처방안도 공감을 주기엔 어렵다”고 혹평했다.
그는 이어 “최저임금 인상은 우리 기업들과 자영업에 치명상을 안긴 정책”이라며 “‘상생 협력의 메커니즘’이라는 모호한 말이 대책이 될 순 없다. 그러면서 자영업을 위한 ‘과감한 투자’를 주장한다. 더불어민주당의 병 주고 약 주고 정책”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일자리 대책에 대해서도 “청년실업에 무엇이 문제인지 원인을 찾아야 하는데 무조건 정부와 여당이 나서서 ‘보다 많은 공공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것이 근본대책”이라며 “더불어민주당의 답없는 무조건 일자리 대책”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더불어민주당 입장에서는 추경안 처리가 급한 문제이겠지만, 소득주도성장 등 경제정책의 기조를 바꾸지 않는 한 경제회복은 어려울 수밖에 없다”며 “국정조사 요구 등을 야당의 발목잡기로 인식하는 것도 잘못된 태도다. 앞으로 ‘일하는 국회’를 만들어 가기 위해서는 이인영 원내대표가 힘주어 강조한 공존 정치의 철학이 더욱 중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수민 바른미래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공존의 정치’로 나아가자는 총론에 있어 전적으로 동의하며 상시 국회체제와 국민소환제 도입 역시 검토해볼만한 제안이라 생각한다”면서도 이같이 말했다.
그는 특히 “소득주도성장, 최저임금 등의 실책들이 빚어낸 우리 경제의 어려움은 ‘과장’이 아니라 ‘현실’”이라며 “대처방안도 공감을 주기엔 어렵다”고 혹평했다.
그는 이어 “최저임금 인상은 우리 기업들과 자영업에 치명상을 안긴 정책”이라며 “‘상생 협력의 메커니즘’이라는 모호한 말이 대책이 될 순 없다. 그러면서 자영업을 위한 ‘과감한 투자’를 주장한다. 더불어민주당의 병 주고 약 주고 정책”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일자리 대책에 대해서도 “청년실업에 무엇이 문제인지 원인을 찾아야 하는데 무조건 정부와 여당이 나서서 ‘보다 많은 공공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것이 근본대책”이라며 “더불어민주당의 답없는 무조건 일자리 대책”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더불어민주당 입장에서는 추경안 처리가 급한 문제이겠지만, 소득주도성장 등 경제정책의 기조를 바꾸지 않는 한 경제회복은 어려울 수밖에 없다”며 “국정조사 요구 등을 야당의 발목잡기로 인식하는 것도 잘못된 태도다. 앞으로 ‘일하는 국회’를 만들어 가기 위해서는 이인영 원내대표가 힘주어 강조한 공존 정치의 철학이 더욱 중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