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22~26일 유엔총회 참석차 뉴욕 방문
위성락 "트럼프-이시바와 정상회담 계획 없어"
이재명 대통령이 오는 22일부터 26일까지 유엔총회 고위급 회기 참석을 위해 미국 뉴욕을 방문한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19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갖고 이같은 이 대통령의 유엔총회 주요 일정을 공개했다.
이 대통령은 도착 첫날인 22일 래리 핑크 세계경제포럼 의장 겸 블랙록 회장을 만나 인공지능(AI)과 에너지전환 분야 협력방안을 논의하는 것으로 일정을 시작한다. 이어 미 하원 의원단과 접견해 한미 관계 강화 방안을 논의하고, 저녁에는 뉴욕 한인 동포들과 간담회를 가진다.
23일에는 유엔총회 고위급 회기 기조연설에 나선다. 이 대통령은 7번째 연사로 나서 한반도 문제를 비롯한 글로벌 현안에 대한 우리 정부의 비전과 정책을 제시한다는 방침이다. 같은 날 오후에는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과의 면담, 저녁에는 미국 조야 오피니언 리더들과의 만찬이 예정돼있다.
이 대통령은 24일에는 대한민국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의장 자격으로 안보리 공개 토의를 주재한다. 공개토의는 AI(인공지능)·국제평화·안보를 주제로 열리며,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이 국제평화와 안보에 미칠 영향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될 예정이다.
25일 오전에는 뉴욕 월가에서 열리는 '대한민국 투자 서밋'에 참석해, 글로벌 핵심 투자자들에게 한국의 경제정책을 소개하고 투자를 요청하는 한편, ‘코리아 프리미엄’을 본격적으로 알린다는 방침이다.
한편 이 대통령은 이번 순방을 계기로 프랑스, 이탈리아, 우즈베키스탄, 체코, 폴란드 정상과 회담을 갖는다. 다만 지난 8월 잇달아 회담을 가졌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이시바 시게로 일본 총리와의 회담은 열리지 않을 전망이다.
위 실장은 한미 정상회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과 근래에 회담했고, 10월에도 회담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말했고, 한일 정상회담에 대해서도 "한일 간에 외교가 복원돼 정상들의 교류가 이어질 것"이라며 유엔 총회 계기 회담 계획은 없다고 설명했다.
시진핑 중국 총리와의 회담 여부에 대해서도 오는 10월 경주 APEC 정상회의에서의 회담 가능성만 언급했다.
위 실장은 "유엔 사무총장 및 G6 주요국을 포함한 정상회담에서 정상간 유대를 강화하고 방산 인프라 등을 논의해 국익 중심 실용외교를 실천에 옮길 것"이라고 말했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19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갖고 이같은 이 대통령의 유엔총회 주요 일정을 공개했다.
이 대통령은 도착 첫날인 22일 래리 핑크 세계경제포럼 의장 겸 블랙록 회장을 만나 인공지능(AI)과 에너지전환 분야 협력방안을 논의하는 것으로 일정을 시작한다. 이어 미 하원 의원단과 접견해 한미 관계 강화 방안을 논의하고, 저녁에는 뉴욕 한인 동포들과 간담회를 가진다.
23일에는 유엔총회 고위급 회기 기조연설에 나선다. 이 대통령은 7번째 연사로 나서 한반도 문제를 비롯한 글로벌 현안에 대한 우리 정부의 비전과 정책을 제시한다는 방침이다. 같은 날 오후에는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과의 면담, 저녁에는 미국 조야 오피니언 리더들과의 만찬이 예정돼있다.
이 대통령은 24일에는 대한민국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의장 자격으로 안보리 공개 토의를 주재한다. 공개토의는 AI(인공지능)·국제평화·안보를 주제로 열리며,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이 국제평화와 안보에 미칠 영향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될 예정이다.
25일 오전에는 뉴욕 월가에서 열리는 '대한민국 투자 서밋'에 참석해, 글로벌 핵심 투자자들에게 한국의 경제정책을 소개하고 투자를 요청하는 한편, ‘코리아 프리미엄’을 본격적으로 알린다는 방침이다.
한편 이 대통령은 이번 순방을 계기로 프랑스, 이탈리아, 우즈베키스탄, 체코, 폴란드 정상과 회담을 갖는다. 다만 지난 8월 잇달아 회담을 가졌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이시바 시게로 일본 총리와의 회담은 열리지 않을 전망이다.
위 실장은 한미 정상회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과 근래에 회담했고, 10월에도 회담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말했고, 한일 정상회담에 대해서도 "한일 간에 외교가 복원돼 정상들의 교류가 이어질 것"이라며 유엔 총회 계기 회담 계획은 없다고 설명했다.
시진핑 중국 총리와의 회담 여부에 대해서도 오는 10월 경주 APEC 정상회의에서의 회담 가능성만 언급했다.
위 실장은 "유엔 사무총장 및 G6 주요국을 포함한 정상회담에서 정상간 유대를 강화하고 방산 인프라 등을 논의해 국익 중심 실용외교를 실천에 옮길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