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한은, 콜금리 동결. '인플레' 위협 중시
미연준 1.25%p 인하에도 동결, 새정부 대응 주목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2월 콜금리 운용목표를 연 5.00%인 현 수준으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13일 발표했다.
작년 7월과 8월 두달 연속 콜금리를 인상했던 금통위는 9월부터 여섯달째 콜금리를 동결했다.
미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지난달 두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1.25%포인트나 인하하면서 국내 정치권 및 재계 일각에서 금리인하 압력이 거셈에도 불구하고 한은이 콜금리 동결을 결정한 것은 인플레 위협에 대응하는 게 우선적 업무라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2001년 9.11 테러직후 미연준의 대폭적 금리인하에 세계 중앙은행들이 동조했던 것과는 달리, 이번에는 유럽중앙은행이 금리동결을 발표하는 등 대다수 중앙은행들이 미연준과 다른 행보를 한 것도 한은이 금리동결을 결정하는 데 한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최근 국내외 경제상황 악화로 이명박 새정부가 올해 목표치인 6% 성장이 어려울 경우 한은에 대한 금리인하 압력이 거세질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어서, 향후 한은의 대응이 주목되는 상황이다.
작년 7월과 8월 두달 연속 콜금리를 인상했던 금통위는 9월부터 여섯달째 콜금리를 동결했다.
미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지난달 두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1.25%포인트나 인하하면서 국내 정치권 및 재계 일각에서 금리인하 압력이 거셈에도 불구하고 한은이 콜금리 동결을 결정한 것은 인플레 위협에 대응하는 게 우선적 업무라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2001년 9.11 테러직후 미연준의 대폭적 금리인하에 세계 중앙은행들이 동조했던 것과는 달리, 이번에는 유럽중앙은행이 금리동결을 발표하는 등 대다수 중앙은행들이 미연준과 다른 행보를 한 것도 한은이 금리동결을 결정하는 데 한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최근 국내외 경제상황 악화로 이명박 새정부가 올해 목표치인 6% 성장이 어려울 경우 한은에 대한 금리인하 압력이 거세질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어서, 향후 한은의 대응이 주목되는 상황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