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폭등 대란', 원재료 2개월 연속 45% 폭등
환율 폭등으로 3월 물가폭등 더욱 가속화 우려
국제 유가 및 원자재값 폭등으로 인플레이션 선행 지표인 원재료 물가가 2개월 연속 45% 이상 폭등, '물가폭등 대란'을 예고했다. 원재료 물가 상승은 시차를 두고 최종 소비재 값에 반영돼 소비자물가 폭등을 예고하고 있기 때문이다.
1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월 가공단계별 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원재료 물가는 전년동기에 비해 45.0%나 폭등해 1월(45.1%)에 이어 두달째 45% 폭등을 기록했다.
이는 재고가 감소한 데다 바이오 연료용 수요가 늘면서 밀, 대두, 옥수수 등 수입곡물 가격(작년 동월 대비 71%)이 폭등하고 원유, 금속소재 등 국제상품 가격 상승으로 수입 광산품(55%)과 수입공산품 (37.6%) 가격이 크게 올랐기 때문이다.
중간재 물가도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음식료품, 화학제품, 금속1차 제품 등이 올라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12.9%나 급등했다. 이에 따라 원재료 및 중간재 물가 상승률은 작년 대비 19.3%으로 1998년 10월 이후 9년4개월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원재료 및 중간재 물가상승률은 지난해 9월 4.7%, 10월 7.8%, 11월 12.0%, 12월 13.5%에 이어 올해 1월 17.3% 등으로 갈수록 오름 폭이 커지고 있다.
더욱 걱정되는 것은 3월 물가 폭등. 3월 들어 원-달러환율이 1000원대로 폭등하면서 원자재값이 원자재 물가는 2월보다 더 폭등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특히 통상 3월에는 등록금 등 개인 서비스 요금도 큰 폭으로 오르기 때문에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더 확대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6% 성장 목표를 맞추기 위한 원-달러 환율 폭등 용인이 곧 물가폭등이라는 부메랑으로 돌아올 전망이어서, 그때 정부가 어떤 해명을 할지 지켜볼 일이다.
1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월 가공단계별 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원재료 물가는 전년동기에 비해 45.0%나 폭등해 1월(45.1%)에 이어 두달째 45% 폭등을 기록했다.
이는 재고가 감소한 데다 바이오 연료용 수요가 늘면서 밀, 대두, 옥수수 등 수입곡물 가격(작년 동월 대비 71%)이 폭등하고 원유, 금속소재 등 국제상품 가격 상승으로 수입 광산품(55%)과 수입공산품 (37.6%) 가격이 크게 올랐기 때문이다.
중간재 물가도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음식료품, 화학제품, 금속1차 제품 등이 올라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12.9%나 급등했다. 이에 따라 원재료 및 중간재 물가 상승률은 작년 대비 19.3%으로 1998년 10월 이후 9년4개월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원재료 및 중간재 물가상승률은 지난해 9월 4.7%, 10월 7.8%, 11월 12.0%, 12월 13.5%에 이어 올해 1월 17.3% 등으로 갈수록 오름 폭이 커지고 있다.
더욱 걱정되는 것은 3월 물가 폭등. 3월 들어 원-달러환율이 1000원대로 폭등하면서 원자재값이 원자재 물가는 2월보다 더 폭등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특히 통상 3월에는 등록금 등 개인 서비스 요금도 큰 폭으로 오르기 때문에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더 확대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6% 성장 목표를 맞추기 위한 원-달러 환율 폭등 용인이 곧 물가폭등이라는 부메랑으로 돌아올 전망이어서, 그때 정부가 어떤 해명을 할지 지켜볼 일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