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종환 국토장관, "때가 되면 대운하 추진"
"운하라는 말이 오해 불러일으켜"
정종환 국토해양부장관은 30일 한반도 대운하와 관련, "때가 됐을 때 왜 우리가 이것이 필요한지를 국민에게 설명드리면서 추진하려고 생각한다"며 국민 다수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거듭 대운하 추진 의지를 밝혔다.
정 장관은 이날 오전 경기중소기업지원센터에서 열린 수원지역 기관장모임인 기우회 월례 조찬강연에서 이같이 말하고 "운하문제가 토목공사로 변질돼 이상하게 비쳐지고 있다. 운하라는 말도 오해를 불러일으킨다. 그러나 원래는 물길을 열고 물길을 잇자는 개념"이라고 주장했다.
정 장관은 "우리나라는 1년중 6,7,8월에 비가 집중적으로 내리고 이 비를 25%밖에 활용 못하는 물 부족국가"라며 "대운하 문제는 이수와 치수 측면에서 강을 어떻게 활용하고 물을 확보할 것이냐의 문제로 봐야 한다"며 거듭 대운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이어 "특히 국민소득이 3만달러, 4만달러 시대가 되면 물에서 여가를 즐기게 된다"며 "국민소득 3만-4만 달러 시대에 국민들의 여가생활에 대해서도 국가가 생각할 볼 문제고 강에 대한 접근방법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정 장관은 이날 오전 경기중소기업지원센터에서 열린 수원지역 기관장모임인 기우회 월례 조찬강연에서 이같이 말하고 "운하문제가 토목공사로 변질돼 이상하게 비쳐지고 있다. 운하라는 말도 오해를 불러일으킨다. 그러나 원래는 물길을 열고 물길을 잇자는 개념"이라고 주장했다.
정 장관은 "우리나라는 1년중 6,7,8월에 비가 집중적으로 내리고 이 비를 25%밖에 활용 못하는 물 부족국가"라며 "대운하 문제는 이수와 치수 측면에서 강을 어떻게 활용하고 물을 확보할 것이냐의 문제로 봐야 한다"며 거듭 대운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이어 "특히 국민소득이 3만달러, 4만달러 시대가 되면 물에서 여가를 즐기게 된다"며 "국민소득 3만-4만 달러 시대에 국민들의 여가생활에 대해서도 국가가 생각할 볼 문제고 강에 대한 접근방법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