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분기 국민소득, 도리어 1.2% 감소
잘못된 환율 끌어올리기 정책이 상황 악화시켜
국제원자재값-환율 급등에 따른 교역조건 악화로 1.4분기 실질 국민총소득(GNI)이 도리어 1.2%나 줄어들었다. 잘못된 수출부양 환율 정책이 가뜩이나 심각한 경제위기 상황을 더욱 악화시킨 양상이다.
한국은행이 2일 발표한 `2008년 1.4분기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1분기 실질 GNI는 전분기에 비해 1.2% 감소했다. 이는 2003년 1분기 -1.6% 이후로 최대 감소다.
실질 GNI 증가율은 작년 2분기 2.0% 이후로 3분기 1.5%, 4분기 0.2%로 꾸준히 악화됐으나 마이너스로 돌아선 것은 5년만에 이번이 처음이다.
실질소득 감소의 주범은 유가 등 국제원자재 및 환율 폭등. 원자재가 급등으로 수입재화의 가격이 크게 오른 반면 수출재화의 가격은 떨어지면서 교역조건변화에 따른 실질무역 손실액이 1분기 27조4천억원으로 분기 기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반면에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올 들어 환율 급등의 영향으로 수출이 높은 신장세를 이어간 덕분에 전기 대비 0.8%로 지난 4월 한국은행이 발표한 속보치 0.7%보다 0.1%포인트 상향 조정돼 작년 동기에 비해서는 5.8% 증가했다.
산업별로 보면 건설업은 건설업과 토목건설이 모두 부진하면서 전기 대비 0.5% 감소했고, 제조업은 반도체 및 전자부품 등 IT제조업의 성장세가 둔화한 데다 운수장비의 부진으로 전기 대비 0.7% 증가하는데 그쳤다.
민간소비도 서비스 소비의 증가세가 둔화하면서 전기 대비 0.4%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 정도 증가율도 물가 폭등을 감안하면 숫자상의 증가일뿐, 실제 소비는 감소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이 2일 발표한 `2008년 1.4분기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1분기 실질 GNI는 전분기에 비해 1.2% 감소했다. 이는 2003년 1분기 -1.6% 이후로 최대 감소다.
실질 GNI 증가율은 작년 2분기 2.0% 이후로 3분기 1.5%, 4분기 0.2%로 꾸준히 악화됐으나 마이너스로 돌아선 것은 5년만에 이번이 처음이다.
실질소득 감소의 주범은 유가 등 국제원자재 및 환율 폭등. 원자재가 급등으로 수입재화의 가격이 크게 오른 반면 수출재화의 가격은 떨어지면서 교역조건변화에 따른 실질무역 손실액이 1분기 27조4천억원으로 분기 기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반면에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올 들어 환율 급등의 영향으로 수출이 높은 신장세를 이어간 덕분에 전기 대비 0.8%로 지난 4월 한국은행이 발표한 속보치 0.7%보다 0.1%포인트 상향 조정돼 작년 동기에 비해서는 5.8% 증가했다.
산업별로 보면 건설업은 건설업과 토목건설이 모두 부진하면서 전기 대비 0.5% 감소했고, 제조업은 반도체 및 전자부품 등 IT제조업의 성장세가 둔화한 데다 운수장비의 부진으로 전기 대비 0.7% 증가하는데 그쳤다.
민간소비도 서비스 소비의 증가세가 둔화하면서 전기 대비 0.4%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 정도 증가율도 물가 폭등을 감안하면 숫자상의 증가일뿐, 실제 소비는 감소한 것으로 풀이된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