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소비심리, '물가대란'에 7년반만에 최대 급랭

하반기 내수경기 급속 침체 경고

물가대란이 발발하면서 소비 심리가 급랭, 하반기 내수경기가 급속히 침체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9일 통계청의 '5월 소비자전망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비자기대지수는 전달에 비해 8.2포인트나 급락한 92.2를 기록하면서 기준치 100을 하회했다. 소비자기대지수가 이처럼 큰 폭으로 하락한 것은 2000년 11월(8.3포인트) 이후 7년 6개월만에 처음이다.

6개월후 경기를 소비자들이 어떻게 보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소비자기대지수는 3월 99.7에서 4월 100.4로 반짝 상승했다가 한달 만에 급락하며 기준치를 크게 밑돌았다.

세부 항목별로는 경기에 대한 기대지수가 4월 93.8에서 5월 77.9로 무려 15.9포인트 하락하면서 전체 지수 급락을 주도했다. 경기 기대지수의 하락폭은 2002년 10월(18.1포인트) 이후 최대를 나타냈다.

생활형편에 대한 기대지수 역시 4월 100.1에서 5월 95.0으로 떨어져 기준치를 하회했고, 소비지출에 대한 기대지수는 한달 사이 107.3에서 103.8로 내려갔다.

소비자기대지수는 전 소득계층과 전 연령대에서 전월에 비해 하락하면서 모두 기준치를 밑돌았다.

6개월 전과 비교해 현재의 경기, 생활형편에 대한 소비자들의 평가를 나타내는 소비자평가지수도 5월 72.2로 전월의 80.0에 비해 하락했다. 소비자평가지수는 지난해 10월 92.5에서 11월 88.0으로 떨어진 뒤 12월 85.1, 올해 1월 82.7, 2월 81.8, 3월 76.4 등 5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다 4월 들어 반짝 상승했으나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경기에 대한 평가지수는 61.0으로 4월의 72.4에 비해 11.4포인트, 생활형편에 대한 평가지수는 83.4로 전월의 87.6에 비해 4.2포인트 각각 하락했다.

이밖에 1년 전과 비교해 현재 가계수입의 변동을 나타내는 가계수입 평가지수는 94.8로 전월(96.2) 보다 1.4포인트 하락했다.

소비자들은 향후 경기에 영향을 줄 첫 번째 요인으로 '유가 등 물가'(75.8%)를 꼽았고, 이어 '수출.환율'(8.0%), '국내소비'(5.2%) 등도 변수로 지목했다.
박태견 기자

댓글이 1 개 있습니다.

  • 19 17
    그날이오면

    장군님이 정상화시켜준다
    그날을 위해서 좌빨들이 해방구 만들어도
    먼산 불구경한다.-- 간첩 시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