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원재료 물가 80% 폭등, 하반기 물가 초비상
국제 원자재값 폭등에 환율 급등 맞물려
지난달 원유 등 국제 원자재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원재료 물가가 80% 가까이 폭등했다. 원재료 물가는 두세달후 소비자물가에도 전가되는 까닭에 하반기에 물가대란이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5월 가공단계별 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원재료 물가는 작년 같은 달에 비해 79.8%나 뛰어올랐다. 이는 한은이 1980년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이후 최고치다.
원재료 물가는 올해 1월에 45.1%, 2월 45.0%에 이어 3월 52.4%, 4월 56.0%로 두 달 연속 50%대 상승률을 보인 데 이어 5월에는 80% 가까이 폭등했다.
원재료 물가 폭등은 환율 상승과 원유, 금속소재 등 국제 원자재값 상승이 맞물렸기 때문이다. 또한 수입 품목인 옥수수, 돼지고기 등 농림수산품 가격도 크게 상승하면서 원재료 물가를 끌어올렸다.
원재료 값이 상승함에 따라 중간재 가격도 음식료품, 석유화학제품, 금속 1차 제품 등을 중심으로 작년 동월 대비 23.1%의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원재료와 중간재를 합한 물가 상승률은 34.6%로 외환위기 발발직후인 1998년 3월 35.7% 이후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재화부문의 종합 인플레이션 측정 지표인 최종재 역시 작년 동월에 비해 6.8% 상승했는데, 이 역시 지난 1998년 11월 14.6% 이후 가장 높았다.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5월 가공단계별 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원재료 물가는 작년 같은 달에 비해 79.8%나 뛰어올랐다. 이는 한은이 1980년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이후 최고치다.
원재료 물가는 올해 1월에 45.1%, 2월 45.0%에 이어 3월 52.4%, 4월 56.0%로 두 달 연속 50%대 상승률을 보인 데 이어 5월에는 80% 가까이 폭등했다.
원재료 물가 폭등은 환율 상승과 원유, 금속소재 등 국제 원자재값 상승이 맞물렸기 때문이다. 또한 수입 품목인 옥수수, 돼지고기 등 농림수산품 가격도 크게 상승하면서 원재료 물가를 끌어올렸다.
원재료 값이 상승함에 따라 중간재 가격도 음식료품, 석유화학제품, 금속 1차 제품 등을 중심으로 작년 동월 대비 23.1%의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원재료와 중간재를 합한 물가 상승률은 34.6%로 외환위기 발발직후인 1998년 3월 35.7% 이후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재화부문의 종합 인플레이션 측정 지표인 최종재 역시 작년 동월에 비해 6.8% 상승했는데, 이 역시 지난 1998년 11월 14.6% 이후 가장 높았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