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유가 폭탄'에 경상수지 6개월 연속 적자

유가 폭등으로 경상적자 계속될 전망

유가 폭탄에 경상수지가 6개월 연속 적자를 나타냈다. 유가 폭등은 계속되고 있어 경상적자 규모가 더욱 커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5월중 국제수지 동향'(잠정)에 따르면 지난 달 경상수지 적자 규모는 3억8천만달러로 전달의 15억8천만달러에 비해 큰 폭으로 감소했으나, 지난해 12월이래 6개월 연속 적자 행진을 이어갔다. 이에 따라 1∼5월까지 경상수지 누적 적자는 71억7천만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 적자폭인 29억달러의 2.5배로 늘어났다.

지난 4월 고유가에도 불구하고 환율 급등에 힘입은 수출 호조로 16억3천만달러 흑자를 보였던 상품수지는 5월에는 6억1천만달러 흑자를 내는 데 그쳤다. 한은은 수입증가율이 29.8%로 전달 30.2%에 이어 높은 수준을 유지했지만 수출증가세는 29.1%에서 22.5%로 둔화하면서 흑자 규모가 줄었다고 설명했다.

수입의 경우 특히 유가상승으로 원유 도입액이 4월 67억달러에서 5월 81억3천만달러로 늘어났으며 1∼5월 원유도입액은 351억7천만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58.9%나 올랐다.

수출은 통관기준으로 보면 4월 26.4%에 이어 5월 26.9%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나 18억6천만달러 상당의 선박 인도 물량이 6월로 이월돼 상품수지상에는 증가율이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1∼5월의 상품수지 흑자 규모는 10억3천만달러로, 작년 동기의 98억달러에 비해 약 10분의 1수준에 그쳤다.

서비스수지는 여행수지가 전달과 비슷한 8억4천만달러 적자였지만 운수수지 흑자가 축소되고 특허권 사용료 지급이 늘면서 적자 규모가 전달보다 1억9천만달러 늘어난 11억7천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소득수지는 대외배당금 지급 등 계절적 요인이 사라지면서 전달 19억3천만달러 적자에서 4억6천만달러 흑자로 돌아섰다. 경상이전수지는 적자 폭이 전달보다 2천만달러 줄어든 2억8천만달러였다.
박태견 기자

댓글이 1 개 있습니다.

  • 15 11
    경제를 안다

    유가폭탄 같은 소리하네. 11년전 한날당때에 대규모 적자로 국가부도를 가져왔고
    똑같은 조건하에 들어선 대중정부는 한때 세계4대 흑자대국까지 왜 올랐섰을까?!. 그게 실력차이이고 능력차이이다. 희딩크나 이순신,등소평같은 리더십차이이다.
    18년동안 흑자한번 못내고 천문학적인 부채를 남겨준 박정희와 엄청난 현금과 흑자경제를 물려준 등소평/김대중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