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연 "올해 물가 6.1% 급등, 내후년도 6%대"
스태그플레이션 진입 기정사실화
수입물가 급등으로 올해 소비자물가가 6.1%나 오르고 내후년에도 6%이상 오를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6일 `수입물가 급등이 내수경기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지난 4~5월중 수입물가는 월평균 38% 상승했고 이로 인해 향후 3년에 걸쳐 매년 3.7%포인트의 소비자물가 상승 압력이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연구원은 특히 올해 물가 상승률의 경우, 전년 2분기 물가상승률 2.4%를 기준으로 볼 때 6.1%까지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기획재정부나 한국은행의 전망치보다 높은 것으로, 올해 성장률이 잘해야 4%대를 기록할 것이란 게 대체적 전망임을 감안할 때 스태그플레이션으로 진입할 것을 의미한다.
연구원은 2000년 1월부터 올해 5월까지 물가지수 장기관계를 활용, 수입물가가 10% 상승할 때 소비자물가가 35개월에 걸쳐 2.9%포인트의 상승 압력을 받는다는 추정 결과를 토대로 이같이 전망했다.
연구원은 이밖에 고물가 원인과 관련, 고유가.원화 약세 이외에 "위안화 절상 등으로 중국의 수출물가가 빠르게 상승한 데 따른 `차이나 인플레이션'도 수입물가 급등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현대경제연구원은 6일 `수입물가 급등이 내수경기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지난 4~5월중 수입물가는 월평균 38% 상승했고 이로 인해 향후 3년에 걸쳐 매년 3.7%포인트의 소비자물가 상승 압력이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연구원은 특히 올해 물가 상승률의 경우, 전년 2분기 물가상승률 2.4%를 기준으로 볼 때 6.1%까지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기획재정부나 한국은행의 전망치보다 높은 것으로, 올해 성장률이 잘해야 4%대를 기록할 것이란 게 대체적 전망임을 감안할 때 스태그플레이션으로 진입할 것을 의미한다.
연구원은 2000년 1월부터 올해 5월까지 물가지수 장기관계를 활용, 수입물가가 10% 상승할 때 소비자물가가 35개월에 걸쳐 2.9%포인트의 상승 압력을 받는다는 추정 결과를 토대로 이같이 전망했다.
연구원은 이밖에 고물가 원인과 관련, 고유가.원화 약세 이외에 "위안화 절상 등으로 중국의 수출물가가 빠르게 상승한 데 따른 `차이나 인플레이션'도 수입물가 급등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