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7월 수입물가 50.3% 폭등, 10년5개월만에 최고

수출물가는 25.1% 상승에 그쳐, 채산성 날로 악화

지난달 수입물가가 거듭 폭등 행진을 이어가며 마침내 상승률이 50%를 돌파했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7월중 수출입 물가 동향'에 따르면 수입물가 총지수는 작년 같은 달에 비해 50.6% 올랐다. 이는 지난 98년 2월의 53.9% 이후 10년 5개월만에 최고치다.

상승률은 지난 4월 31.3%, 5월 44.6%, 6월 49.0% 등으로 계속 올라가다가 마침내 50% 벽마저 깼다.

그러나 총지수의 전월대비 상승률은 지난 7월에 1.1%로 5월 10.7%, 6월 2.7%에 비해 둔화돼, 근래의 유가 등 국제원자재값 급락이 순기능을 하기 시작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최근 달러화 초강세로 원화 환율이 다시 급등하기 시작해 국제원자재값 하락의 순기능은 많이 희석되고 있다.

원자재가격의 상승률은 89.9%로 전월의 92.5%보다 다소 둔화됐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이어갔다. 중간재는 34.8%, 자본재는 16.3%, 소비재는 20.1% 등의 비율로 각각 올랐다.

품목별로 전월비 상승률을 보면, 원자재에서 천연인산칼슘이 9.0%, 무연탄이 10.9%, 연광석이 4.0% 오른 반면 밀은 16.0%, 과일은 5.3%, 우라늄은 9.7% 각각 하락했다.

중간재에서는 비료 17.5%, 암모니아 10.0%, 열연강대 23.1%, 냉연강판 30.2% 등이 급등한 반면, 니켈은 11.5%, 백금은 7.4%, 아연괴는 8.4% 떨어졌다.

소비재에서는 냉장기기가 7.2%, 디지털카메라가 2.9% 각각 오른 반면, 휴대용저장장치는 11.7%, 쌀은 1.0%, 냉동어류는 1.0% 각각 내렸다.

한편 수출물가의 전년동월대비 상승률은 7월에 수입물가 상승률의 절반인 25.1%에 그쳐 수출기업들의 채산성이 계속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태견 기자

댓글이 4 개 있습니다.

  • 13 36
    111

    500원 하던 라면 1개가...
    현재 750원 한다...
    .......고환율 때문에...
    .......올해 무지하게 가격인상이 되었다
    ......앞으로 얼마나 더 올라갈지 모른다.

  • 31 15
    111

    호주금리 현재 7%....부동산거품 파열났다
    금리인하하지 않는 이유는 물가........
    수출 대기업 이익챙겨..고환율 부메랑
    환율상승--물가상승- 금리인상
    빈틈만생기면 환율은 오버슈팅

  • 35 18
    111

    연말이전에도 환율은 1100원이상을 보고 있다.(고환율쓴아키로좋겟어)
    환율상승=> 물가상승=>금리인상 (8월금리인상)
    환율상승=> 물가상승=>금리인상 (9월금리인상예상)
    환율상승=> 물가상승=>금리인상 전방위 압박 확산.

  • 11 33
    111

    앞으로 수입물가는 300% 가능해..
    공기업들 전부 사유화 한다며..
    국민들 죽이는거야....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