쓸 돈 없고, 양극화는 심해지고...고통지수 최악
교육비-주거-식품비 빼고는 모두 소비 줄여
실질소득 증가율은 사상최저로 줄어들고, 빈부 양극화는 사상최악으로 확대되는 등 서민경제가 최악의 상황으로 빠져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주거-식품비를 제외한 나머지 부문에서는 모두 소비가 줄어드는 등, 다수 국민이 극도의 내핍생활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서민-중산층이 느끼는 고통지수가 얼마나 큰가를 재차 실감케 했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2분기 가계수지동향'에 따르면, 2인 이상 전국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325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5.1% 증가했다.
그러나 폭등한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실질소득 증가율은 0.3% 증가에 그쳐 지난해 2분기 증가율 1.0%에 비해 낮았고 올해 1분기의 실질소득 증가율 1.2%와 비교해도 훨씬 낮은 수준이다. 이는 관련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지난 2003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이기도 하다.
이 와중에 양극화는 더 심해져, 5분위(상위 20%)의 월평균 소득은 664만8천원으로 1분위(하위 20%) 89만1천원의 7.46배에 달해 이 또한 2분기 기준으로는 2003년 이후 가장 컸다. 도시근로자 가구의 소득 5분위 배율도 지난해 2분기 5.04배에서 올해 2분기 5.11배로 더 악화됐다.
전국가구의 2분기 월평균 소비지출은 219만8천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6% 늘어나는 데 그쳤고 실질로는 0.2%가 감소했다.
소비지출 항목은 교육비가 10.5%, 주거비가 7.8%, 식료품비가 6.6% 증가한 반면 보건의료비는 7.5%, 통신비 0.9%, 교양오락 0.3%가 각각 감소해, 교육비-주거-식품비를 제외한 나머지 부문에선 예외없이 긴축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세와 사회보험료 등으로 구성된 비소비지출은 41만4천원으로 작년동기대비 4.1% 증가했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2분기 가계수지동향'에 따르면, 2인 이상 전국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325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5.1% 증가했다.
그러나 폭등한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실질소득 증가율은 0.3% 증가에 그쳐 지난해 2분기 증가율 1.0%에 비해 낮았고 올해 1분기의 실질소득 증가율 1.2%와 비교해도 훨씬 낮은 수준이다. 이는 관련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지난 2003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이기도 하다.
이 와중에 양극화는 더 심해져, 5분위(상위 20%)의 월평균 소득은 664만8천원으로 1분위(하위 20%) 89만1천원의 7.46배에 달해 이 또한 2분기 기준으로는 2003년 이후 가장 컸다. 도시근로자 가구의 소득 5분위 배율도 지난해 2분기 5.04배에서 올해 2분기 5.11배로 더 악화됐다.
전국가구의 2분기 월평균 소비지출은 219만8천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6% 늘어나는 데 그쳤고 실질로는 0.2%가 감소했다.
소비지출 항목은 교육비가 10.5%, 주거비가 7.8%, 식료품비가 6.6% 증가한 반면 보건의료비는 7.5%, 통신비 0.9%, 교양오락 0.3%가 각각 감소해, 교육비-주거-식품비를 제외한 나머지 부문에선 예외없이 긴축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세와 사회보험료 등으로 구성된 비소비지출은 41만4천원으로 작년동기대비 4.1% 증가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