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지난해 광공업 일자리 거의 안 늘어

6년래 최저, 산업구조 고도화 및 해외이전 결과

지난해 광업.제조업체의 출하액은 10% 가까이 늘어나며 1천조 원에 육박했지만 종사자 수는 사실상 제자리걸음을 하면서 2001년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을 보였다.

조선업은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 출하액, 부가가치 등에서 증가율 1위를 기록한 반면 섬유업은 모든 지표에서 마이너스를 나타냈다.

1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07년 기준 광업.제조업 통계조사 잠정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광업.제조업의 월평균 종사자 수는 289만7천 명으로 전년보다 1.1% 증가하는데 그쳤다. 연도별로는 2000년에 5.6%나 증가했지만 2001년에 0.3% 감소했고 2002~2006년 증가율은 2.1%→2.0%→1.5%→2.4%→1.6%를 기록했다.

이처럼 일자리 창출이 부진해진 것은 섬유.신발 등 노동집약산업의 구조조정과 공장의 해외 이전, 제조업체의 설비 자동화 등에 따른 것으로 풀이됐다.

업종별로 보면 조선(13.1%), 석유정제(5.1%), 금속가공.철강(각 4.7%), 기계장비(4.3%) 등에서 증가한 반면 가죽.신발(-5.9%), 전자(-5.8%), 섬유(-5.5%) 등은 감소해 명암이 엇갈렸다.

종사자 5명 이상의 광업.제조업체는 모두 12만140개로 전년보다 2.4% 늘어난 가운데 조선(20.4%), 석유정제(18.1%), 금속가공(7.1%), 철강(6.6%) 등의 업종이 뚜렷한 증가세를 보인 것과 달리 가죽.신발업체(-4.1%)는 감소했다.

출하액은 991조840억 원으로 전년보다 9.9% 증가했으며 이 가운데 제조업 출하액은 988조7천900억 원으로 전년보다 10.0%, 2000년과 비교할 때는 79.1% 늘었다.

전년 대비 출하액 증감률을 보면 조선(26.8%), 금속가공(17.7%), 철강(17.2%), 석유정제(13.0%) 등이 늘었고 섬유(-1.0%)와 가죽.신발(-0.5%)은 줄었다. 액수로는 전자가 159조 원으로 가장 많았고 자동차(118조 원)와 철강(104조 원)이 뒤를 이었다.

출하액 비중은 중화학공업이 83.9%로 전년보다 0.8%포인트 높아졌다. 이에 따라 제조업 사업체당 출하액은 82억6천900만 원으로 7.4%, 종사자 1인당 출하액은 3억4천300만 원으로 8.8%가 각각 증가했다.

광업.제조업 부가가치는 346조9천370억 원으로 전년보다 7.4% 늘어나면서 2004년 이후 최고 증가율을 보인 가운데 조선(32.4%), 기계장비(13.1%), 화학(13.0%) 등이 큰 폭으로 늘어났지만 섬유(-5.4%)와 가죽.신발(-0.9%)은 줄었다.

제조업의 사업체당 부가가치는 28억8천800만 원으로 4.9% 증가했고 종사자 1인당 부가가치는 1억2천만 원으로 6.3% 늘어났다.

통계청은 "조선산업은 고부가가치 선박 제조로 출하액과 부가가치가 크게 상승했지만 섬유산업은 해외 저가 제품 유입과 수출 경쟁력 약화로 출하액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