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증현 "확장적 정책 계속, 환율 쏠림 막겠다"
"임금-근로시간, 더욱 유연하게 만들겠다"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은 15일 "민간의 자생적 경기 회복력이 강화될 때까지 확장적 거시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통화정책도 경기 대응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며 경기부양과 저금리 정책을 계속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윤 장관은 이날 롯데호텔에서 열린 <머니투데이> 초청 조찬강연에서 "단기 유동성이 증가한 것은 사실이지만 총 통화 증가율은 줄고 통화 유통속도도 하락하고 있다. 자금 선순환을 유도하는 게 중요한 시점인 만큼 금융완화로 늘어난 유동성이 생산에 들어가게 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원-달러 환율 정책과 관련해서도 "환율은 경제 펀더멘털과 수급 반영을 존중하되 쏠리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해, 시장개입을 통해 급속한 환율 하락을 막겠다는 뜻을 우회적으로 드러내기도 했다.
그는 노동정책과 관련해선 "노동시장 유연성 확보는 외환위기 때 다소 미흡했던 과제로 이번에도 못하면 우리 경제가 도약하지 못할 것"이라며 "임금.근로시간을 더욱 유연하게 적용하는 방안을 노사정 협의를 거쳐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고 밝혔다.
그는 기업들에게는 "토지이용, 환경, 기업 관련 규제를 개선하고 각종 부담금을 덜어주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현 경제상황과 관련해선 "제비 한 마리를 보고 봄을 볼 수 없는 만큼 대외 변수를 보면서 향후 정책 대응을 차분히 준비해야 한다"며 한국 경제가 직면한 불확실성으로 고용 부진, 금융권 부실채권, 동유럽 위기, 영국의 주택금융 부실, 석유와 원자재 가격 상승, 북한 리스크 등을 열거했다.
그는 "지금은 위기 대응과 위기 이후를 대비할 아주 중요한 시기"라면서 " 섣부른 기대감에 구조조정을 게을리하면 안 된다. 지금까지 경기 하락을 막는 데 노력했다면 이젠 구조개혁을 본격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며 구조조정 필요성을 강조했다.
윤 장관은 이날 롯데호텔에서 열린 <머니투데이> 초청 조찬강연에서 "단기 유동성이 증가한 것은 사실이지만 총 통화 증가율은 줄고 통화 유통속도도 하락하고 있다. 자금 선순환을 유도하는 게 중요한 시점인 만큼 금융완화로 늘어난 유동성이 생산에 들어가게 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원-달러 환율 정책과 관련해서도 "환율은 경제 펀더멘털과 수급 반영을 존중하되 쏠리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해, 시장개입을 통해 급속한 환율 하락을 막겠다는 뜻을 우회적으로 드러내기도 했다.
그는 노동정책과 관련해선 "노동시장 유연성 확보는 외환위기 때 다소 미흡했던 과제로 이번에도 못하면 우리 경제가 도약하지 못할 것"이라며 "임금.근로시간을 더욱 유연하게 적용하는 방안을 노사정 협의를 거쳐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고 밝혔다.
그는 기업들에게는 "토지이용, 환경, 기업 관련 규제를 개선하고 각종 부담금을 덜어주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현 경제상황과 관련해선 "제비 한 마리를 보고 봄을 볼 수 없는 만큼 대외 변수를 보면서 향후 정책 대응을 차분히 준비해야 한다"며 한국 경제가 직면한 불확실성으로 고용 부진, 금융권 부실채권, 동유럽 위기, 영국의 주택금융 부실, 석유와 원자재 가격 상승, 북한 리스크 등을 열거했다.
그는 "지금은 위기 대응과 위기 이후를 대비할 아주 중요한 시기"라면서 " 섣부른 기대감에 구조조정을 게을리하면 안 된다. 지금까지 경기 하락을 막는 데 노력했다면 이젠 구조개혁을 본격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며 구조조정 필요성을 강조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