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자산가격 급등에 소비심리 7년래 최고 기록

소비자들 "부동산값 계속 오르고 주가는 떨어질 것"

부동산, 주식 등 자산가격이 급등하면서 소비심리가 4개월째 상승, 7년만에 최고의 수준으로 올라갔다.

한국은행이 지난 13∼20일 전국 2천184개 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해 27일 발표한 `7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비자심리지수(CSI)는 109로 전월의 106보다 3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2002년 3분기의 114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분야별로는 현재 생활형편 CSI는 92로 전월의 89보다 3포인트 올라갔고 생활형편전망 CSI는 102에서 105로 같은 폭으로 상승했다.

현재의 경기판단 CSI는 96으로 전월의 91보다 5포인트 상승했고 향후 경기전망 CSI도 108에서 114로 6포인트 올라갔다. 취업기회전망 CSI도 89에서 91로 상승했다.

소비자들은 부동산에 대해서는 앞으로도 가격이 올라갈 것으로 전망했지만 주식가격은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주택.상가.토지.임야 가치전망 CSI는 106으로 전월의 102보다 4포인트 올라갔고 금융저축 가치전망 CSI는 98에서 99로 상승했다. 반면, 주식가치전망 CSI는 104에서 102로 떨어졌다.

소비자들이 예상하는 앞으로 1년간의 물가상승률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은 3.8%로 전월의 4.1%보다 떨어졌다.
임지욱 기자

댓글이 4 개 있습니다.

  • 6 3
    멜론

    대단한 이명박
    인정한다.
    당신이 부동산과 주식에는 일가견이 있구나.
    그렇지 않고서야 이 세계적 불황에 이런 호황이 어디 가당키나 한일인가.
    다만 투기로 경제가 살거나 경제가 발전하거나
    국가가 수준이 높아지는 것은 아니라는 게 안타까울뿐.
    좀 다른 데 특기가 있었으면 더 좋았을 것을...

  • 2 6
    잘되면좋고

    재정확대가 계속될수 있을까..
    어디까지 가능할까? 국민의 정부 시절 카드사태처럼 또 다를 착각속에 살고 있는것은 아닐까? 그때는 개인이 빚쟁이로 몰렸지만 이제는 국가가 빚쟁이로 몰리고 결국 그피해는 개인에게 돌아오는..

  • 8 3
    장기침체

    일본의 90년대 장기침체기를 보는 것 같구만...씁쓸...
    경기부양과 침체의 반복.
    정부재정악화 가속.
    기대와 실망의 반복.
    결국 소비자와 생산자는 지치고.
    부동산 버블의 붕괴.
    경기는 장기침체의 늪으로.

  • 11 2
    신기루

    이제 곧 곡소리만 들리겠군
    오른 부동산 한번 팔아봐라 ㅋㅋㅋ
    이제 곧 버블 부동산을 용케 손에 쥔 서민들은 곡소리나게 되어있어...
    쥐바기가 아무나 같이 노는데 끼워주는 개독이 아니야. ㅋㅋㅋ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