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소비자물가 1.6% 상승, 9년여만에 최저치
공공서비스요금, 학원비 등 피부물가는 계속 고공행진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개월째 둔화되면서 1%대까지 하락했다.
통계청은 7월 소비자물가가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1.6% 올랐다고 3일 발표했다. 이는 2000년 5월 1.1% 이래 9년2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로, 지난해 같은 기간 유가가 폭등했던 데 따른 기저효과다.
물가상승률은 작년 7월 5.9%를 정점으로 8~9월 5%대, 10~12월 4%대로 낮아진 뒤 올해도 1월 3.7%, 2월 4.1%, 3월 3.9%, 4월 3.6%, 5월 2.7%, 6월 2.0%로 떨어졌다.
전월대비 상승률은 0.4%로, 전달의 -0.1%에서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식료품 등 생활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과 전월에 비해 각각 0.4% 상승했다. 생선.채소.과실류 등 신선식품지수는 작년 7월에 비해 8.4% 올랐으나 전월보다는 1.5% 상승에 그쳤다.
농산물.석유류 제외지수는 작년 동월 대비 3.2%, 전월보다 0.2%가 각각 상승했다.
공업제품 중에서는 금반지(21.4%), 우유(22.0%), 티셔츠(10.4%) 등이 올랐지만 휘발유(-14.7%), 경유(-24.4%), 등유(-35.1%), 자동차용 LPG(-29.3%) 등 유류는 모두 큰 폭으로 하락했다. 전세는 1.4%, 월세는 1.1% 올랐다.
그러나 도시가스료(9.3%), 택시료(14.3%) 등 공공서비스요금이 크게 올랐고 개인서비스 중에서는 외식삼겹살(6.3%), 보육시설시용료(4.6%), 유치원 납입금(5.4%), 학교급식비(4.5%) 등이 올라, 서민들이 느끼는 피부물가 상승률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7월 소비자물가가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1.6% 올랐다고 3일 발표했다. 이는 2000년 5월 1.1% 이래 9년2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로, 지난해 같은 기간 유가가 폭등했던 데 따른 기저효과다.
물가상승률은 작년 7월 5.9%를 정점으로 8~9월 5%대, 10~12월 4%대로 낮아진 뒤 올해도 1월 3.7%, 2월 4.1%, 3월 3.9%, 4월 3.6%, 5월 2.7%, 6월 2.0%로 떨어졌다.
전월대비 상승률은 0.4%로, 전달의 -0.1%에서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식료품 등 생활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과 전월에 비해 각각 0.4% 상승했다. 생선.채소.과실류 등 신선식품지수는 작년 7월에 비해 8.4% 올랐으나 전월보다는 1.5% 상승에 그쳤다.
농산물.석유류 제외지수는 작년 동월 대비 3.2%, 전월보다 0.2%가 각각 상승했다.
공업제품 중에서는 금반지(21.4%), 우유(22.0%), 티셔츠(10.4%) 등이 올랐지만 휘발유(-14.7%), 경유(-24.4%), 등유(-35.1%), 자동차용 LPG(-29.3%) 등 유류는 모두 큰 폭으로 하락했다. 전세는 1.4%, 월세는 1.1% 올랐다.
그러나 도시가스료(9.3%), 택시료(14.3%) 등 공공서비스요금이 크게 올랐고 개인서비스 중에서는 외식삼겹살(6.3%), 보육시설시용료(4.6%), 유치원 납입금(5.4%), 학교급식비(4.5%) 등이 올라, 서민들이 느끼는 피부물가 상승률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