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개인은 빈털터리, 기업은 돈풍년

가계저축률 10년전 비해 거의 4분의 1로 급감

지난 2006∼2008년 개인저축률이 평균 4%대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저축률의 국제비교와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2006∼2008년 개인저축률은 평균 4.8%로 20년 전인 1986∼1990년의 16.9%에 비해 12.1%포인트 떨어졌다.

개인저축률은 가계의 저축액을 국민총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눠 계산한다.

개인저축률은 ▲1991∼1995년 16.3% ▲1996∼2000년 14.2% ▲2001∼2005년 6.0% 등으로 계속 내려왔다.

한은의 김민우 국민소득팀 과장은 "이런 현상은 개인들의 소비가 소득보다 빨리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하고 "개인저축률과 달리, 총저축률은 높기 때문에 투자재원 등에 대해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설명했다.

총저축을 국민총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눠 계산하는 총저축률은 2006∼2008년에 평균 30.8%로 1986∼1990년 37.7%보다 7.0%포인트, 2001∼2005년의 31.9%에 비해서는 1.1%포인트 각각 하락하는데 그쳤다.

이는 기업의 저축률이 2006∼2008년에 16.0%로 2001∼2005년의 15.3%보다 2.1%포인트 상승하는 등 계속 올라온 데 따른 것이다. 개인 저축의 부족분을 기업들이 메워주고 있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한은은 우리나라의 총저축률은 선진국에 비해서도 높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2008년 한국의 총저축률은 30.7%로 1인당 국민소득 2만 달러였을 당시 미국 16.8%, 영국 16.1∼16.2%, 프랑스 20.3∼20.9%, 독일 23.3%보다 높다는 것이다
연합뉴스

댓글이 3 개 있습니다.

  • 13 3
    가난뱅이

    부자감세가 투자증대와 고용증대로 연결된다더니...
    노무현 시절 부자감세해야 한다고 외치던 교수들 모두 어디로 갔나?
    서민 피 빨아 재벌 살찌운 결과에 책임져라.

  • 11 4
    좇같은현실

    우리나라 국민들 피같은 돈 털어서 기업에게만 배불려 먹였네.
    세상은 엿같은 현실이다.

  • 7 5
    스쿠루지

    공자금 떼먹은놈들 다 토해라 그래
    안그럼 2세들, 싸이처럼 현역으로 보낸다 그래.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