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신문들 "아무리 냉정히 판단해도 특혜"
'세종시 블랙홀' 우려, "이런 특혜에 흔들리지 않을 기업 어딨겠나"
<영남일보> "아무리 냉정히 판단해도 특혜"
대구경북의 <영남일보>는 6일 사설을 통해 정부가 세종시 입주 대기업에 땅을 3.3㎡(평)당 36~40만원에 공급키로 한 것과 관련, "아무리 기반시설이 조성되지 않은 원형지 형태라고는 하나, 지난해 11월 대구시가 성서5차산업단지의 분양가를 3.3㎡당 133만원에 책정한 것과 비교해보더라도 특혜라는 화살은 피해가기 어렵다"며 "이 정도라면 아무리 냉정한 잣대로 판단해도 '세종시 블랙홀' 우려를 씻어내기는 힘든 상황"이라고 비판했다.
사설은 이어 "정부에서는 세종시 원안 수정계획이 다른 지방의 기업유치나 발전에 영향을 주는 일이 없을 것이라고 되뇌지만, 현실적으로 그 말에 공감하기는 어렵다"며 "더욱이 전국적으로 대규모 산업단지가 조성될 계획이어서 세종시 기업 유치방안의 내용에 다른 지방이 일희일비하지 않을 수 없는 실정이다. 대구경북만 해도 현재 조성중이거나 앞으로 조성할 계획인 산업단지만 30개 단지에 9천여만㎡에 이른다"며 거듭 세종시 블랙홀을 우려했다.
<경인일보> "경기.인천 경제계, 공황상태 빠져"
수도권의 <경인일보>도 이날 기사를 통해 "정부가 세종시로 이전하는 수도권 기업에 대해 3.3㎡당 30만원대에 공장부지를 공급하는 등 '특혜'에 준하는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키로 함에 따라 삼성전자 등이 이전 움직임을 본격화, 경기·인천지역 경제계가 공황상태에 빠졌다"고 전했다.
신문은 이어 "인센티브 제공 계획 발표에 따라 경기·인천지역 기업들의 이전설도 구체화 되고 있다"며 "경제계는 지난 4일 수원디지털시티에서 열린 삼성전자 시무식 당시 최지성 사장이 신사업분야로 공표한 건강, 환경, 라이프케어 사업 등이 세종시에서 시작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럴 경우 삼성전자와 협력관계에 있는 중견기업들의 연쇄 이동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고 우려했다.
신문은 또 "이밖에 공장증설을 검토중이거나 택지개발 등으로 인해 이전을 검토했던 중소기업들의 세종시행(行)도 급물살을 탈 것"이라며 공장 이전 부지를 물색중인 A기업(화성 소재) 관계자의 "당초 예상했던 수준보다 인센티브가 파격적"이라며 이전을 검토하겠다는 말을 전하기도 했다.
경기도상공회의소연합회의 한 핵심간부는 "파격적 인센티브에 정략적 유치작전까지 펼치니 흔들리지 않을 기업이 어디 있겠냐"며 "기업이 빠져나간 후 텅 비게 될 경기도에 대한 배려가 없는 정책 발표"라고 비판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무등일보> "타지방, 20년간 투자유치 포기해야"
광주전남의 <무등일보>도 이날 기사를 통해 "정부가 세종시에 입주하는 기업체에 3.3㎡당 30만원 대의 파격적인 가격으로 토지를 제공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지자, 광주시와 전남도를 비롯한 지방자치단체가 '지방 고사를 볼모로 한 수정안'이라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며 "특히 세종시 수정안이 저렴한 부지 제공에 이어 세제 지원 등 다양한 혜택까지 부여하는 '기업유치 블랙홀 방안'인 것으로 드러남에 따라 광주시의 수도권 기업유치는 물론 첨단 및 평동산업단지 등 지방 산단 조성 사업에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고 우려했다.
신문은 "실제 지난 2005년부터 추진해 올 하반기 분양 예정인 첨단과학산업단지 2단계 조성사업의 경우 3.3㎡당 70만원선에서 공장용지 분양가가 책정돼 있어 세종시 보다 2배 정도 높다. 또 광주시도시공사가 개발하고 있는 평동2차산업단지 공장용지도 3.3㎡당 58만원으로 책정돼 세종시 수정안보다 월등히 높다"며 "이밖에 걸음마 단계에 머물러 있는 무안과 영암 등 전남지역 기업도시와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도 세종시 수정안의 직격탄으로 인해 크게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광주시 관계자는 "세종시 입주 기업체에 정부가 파격적인 토지 제공과 세금 지원 등을 제공하면 수도권 기업체 중 누가 광주까지 내려오겠냐"며 "지방 고사를 볼모로 한 이같은 수정안이 확정될 경우 지방 자치단체는 세종시가 자족기능을 갖게 되는 최소 20년간 투자유치를 포기해야 한다"고 비판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충청투데이><대전일보>"충청민심 뒤집기는 역부족"
충청지역의 <충청투데이>도 이날 사설을 통해 정부안을 "어설프기 그지없는 수정안"이라고 질타한 뒤,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이 원안을 뒤집기에는 역부족인 듯하다"고 진단했다.
신문은 "이대로라면 심각한 역풍이 예상된다. 정치권의 파국은 물론이요 전국 혁신도시 자치단체들도 똑같은 혜택을 요구하는 등 가만히 있지 않을 태세"라며 "무엇보다 충청인의 반발 심화가 우려된다. ‘원안 또는 원안 플러스 알파’를 요구하는 충청인의 마음을 헤아릴 때 해법이 찾아진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충청인의 동의 없이는 세종시 수정이 한 발짝도 나아갈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밝혀둔다"고 경고했다.
<대전일보>도 이날 사설을 통해 "이 같은 수정안이 원안 추진을 고수하고 있는 야권과 충청권의 강력한 반발에 직면할 것은 뻔하다"며 "민주당과 자유선진당, 한나라당 친박(친박근혜) 비주류가 세종시 수정에 반대 입장이어서 여야 격돌은 물론 여권내 충돌이 일어날 가능성이 많다"며 정국 혼란을 우려했다.
사설은 이어 "충청권의 민심은 더욱 어지럽다. 폭풍전야처럼 지금은 지켜보고 있지만 수정안이 공식화될 경우 그 파장의 끝이 어디가 될 지 예상키 어렵다. 각종 여론조사에서도 충청권에서 원안 추진이 압도적이다. 전국의 일부 지역에선 수정론이 다소 우세했지만 이 지역에선 별반 변화의 조짐이 없다"며 "얼마 전 정 총리가 세종시와 관련해 충청권에서 변화가 일고 있다고 언급했지만 민심은 그 반대 쪽"이라고 경고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