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공공요금도 줄줄이 인상, 정부 요구 일축
정화조 청소비, 버스-택시요금, 도시가스 줄줄이 올라
8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중앙과 함께 지방정부도 6.2 지방선거가 끝난 뒤 기다렸다는 듯이 공공요금을 올렸다. 그동안 인상을 미뤘던 정화조 청소료와 버스, 택시, 도시가스 요금 등이 줄줄이 인상되거나 인상을 앞두고 있는 상황이다.
경남 진주시는 지난달 1일부터 정화조 청소료를 32.7% 인상했고, 함안시도 31.6% 인상했다. 밀양시도 9월에 38% 가량 인상할 계획이다. 경남 진주와 사천지역의 도시가스요금도 7월부터 ㎡당 2원씩 인상됐다.
전라남도도 지난달 1일부터 시내ㆍ농어촌 버스의 운임ㆍ요율을 8.6~12.7%까지 인상했다.
강원도 원주시도 분뇨 수집과 운반 수수료를 25% 인상했으며 하반기에도 평균 11~12% 인상을 추진하고 있다. 강원도 철원군은 택시업계의 경기침체를 감안해 지난달 1일 택시기본요금을 2천900원으로 16% 인상했다.
충청북도와 울산시도 시내버스 요금을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인천시는 9월께 하수도 요금을 인상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반면에 경기도의 31개 지자체 가운데 하반기 상ㆍ하수도 요금과 정화조 청소료, 쓰레기 봉투가격 등을 인상할 계획을 했던 시군은 애초 20곳에 달했지만, 정부와 도의 공공요금 인상 억제 요구에 따라 11개 시군이 하반기 요금인상을 보류했고 9개 시군도 인상 보류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시도 도시가스요금 등 공공요금 11종과 개인서비스 요금 49종을 동결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