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의원은 26일 열린우리당 홈페이지에 띄운 글을 통해 이같은 절망감을 피력한 뒤 "선거에서 패할 때마다 반성한다고 했다. 그리고 새출발을 한다고 했다"며 "하지만 매번 선거결과는 국민들이 우리당의 반성과 다짐을 평가하지 않고 있음을 보여줬다"고 말뿐이었던 열린우리당의 그동안 반성을 자성했다.
임의원은 "정당은 자신들의 지지세력을 일관되게 대변해야 한다. 우리당의 지지층인 서민과 중산층, 800만 비정규직 노동자, 350만 농민, 400만 자영업자, 고용의 75%를 차지하는 중소기업을 위해 뼈를 깎는 노력을 했어야 했다"며 "그러나 참여정부와 우리당은 152석이라는 과반수 의석을 가지고도 지지자들의 뜻을 받들어 제대로 한일이 없다"고 자성했다.
임 의원은 국가보안법 폐지 실패, 이라크 추가파병, 굴욕적 용산기지 이전협상,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인정, 법인세 2%인하, 특별소비세 인하, 기업도시특별법 통과, 삼성에게 면죄부 주는 금융산업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개정, 비정규직에 불리한 비정규직법안,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추진 등을 참여정권의 실정으로 열거한 뒤, "우리당의 패배는 한나라당과 별차이 없는 정책기조에 있다. 그것 때문에 우리당을 지지했던 많은 지지자들이 등을 돌리고 떠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화살을 노무현 대통령에게 돌려 "특히 지난해 6~8월 노대통령이 느닷없이 들고 나온 한나라당과의 대연정은 우리당 지지세력을 더욱 실망시켰다. 노 대통령은 우리당과 한나라당이 정책 차이가 없다고 했다. 그리고 우리당은 노대통령의 대연정 제안을 막지 못하고, 결국 추인해줌으로써 한나라당과 정책적 차이가 없음을 인정한 셈이 되었다"며 "나는 대연정제안 추인이 우리당 지지자를 우리당으로부터 떠나게 한 가장 결정적 사건으로 본다"고 노대통령을 통렬히 비판했다.
국민에게 완전 버림을 받았다고 절규하는 임종인 열린우리당 의원. ⓒ연합뉴스
임 의원은 "나는 민주당과의 합당론, 통합신당론, 고건씨와의 연대론, 재창당론 등 정책노선 없는 정치공학만으로는 정권재창출은 커녕 살아남기도 힘들다고 확신한다"며 당내에 돌고 있는 각종 정계개편 시나리오를 질타한 뒤, "지지세력을 대변하기 위해 아무것도 하지 않는 정치공학적인 판짜기는 옳지도 않고 되지도 않는다. 그리고 아무런 의미도 없다"고 단언했다.
그는 "서민과 중산층, 중소기업가, 자영업자들의 이익을 대변하는 길만이 살길"이라며 "먼저 뼈를 깎는 진정한 반성부터 해야 하고 지지자들에게 잘못했다고 해야 한다. 그리고 지지층을 위한 정책기조를 확고히 하고 몸으로 실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우리당의 지지층은 서민과 중산층, 중소기업가, 자영업자들"이라고 재차 강조한 뒤, "재벌과 특권층을 위한 경제정책은 한나라당이 할일이지 우리당이 할일이 아니다. 한나라당과 차별성을 가져야 한다. 그래야 등돌렸던 지지층이 돌아온다. 이것만이 우리당의 살 길이다. 또 혹 있을 정계개편에서 우리당이 주도권을 가질 수 있다"고 재차 지지층에게로의 원대복귀를 촉구했다.
그러나 임 의원이 이런 절규를 하고 있는 사이에도 열린우리당 강봉균 정책위의장 등은 집값 폭등을 재연시킨 추병직 건교부장관의 신도시에 대한 적극적 지지 입장을 밝히는 등 엇갈린 행보를 계속해 과연 열린우리당의 회생이 가능할 지에 의문을 갖게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