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생산자물가 8% 폭등, '물가대란' 확산
국제원자재 폭등에 환율 폭등 가세해 '이중고'
국제 원자재 가격의 상승으로 지난달 생산자물가가 IMF사태 발발후 가장 높은 수치인 8%나 폭등, '물가대란' 우려를 확산시키고 있다.
한국은행은 9일 3월 생산자물가 지수가 작년 같은 달에 비해 8% 상승해 1998년 11월 11.0%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고 발표했다.
전년 동월 대비 생산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8월 1.7%, 9월 2.1%, 10월 3.4%, 11월 4.4%, 12월 5.1%, 올해 1월 5.9%, 2월 6.8% 등으로 나날이 오름 폭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전월 대비 상승률도 1.7%를 나타내 1998년 2월 2.4% 이후로 가장 높았다.
생산자물가가 급등한 것은 사료값 폭등으로 축산물 값이 급등하고, 공산품과 서비스 가격 등 대부분 품목이 큰 폭으로 올랐기 때문이다.
쇠고기 값의 경우 전월 대비 4.1% 내렸으나 돼지고기 값이 14.8%나 뛰었고 계란도 6.3%나 올랐다. 공산품의 경우 원유, 곡물, 비철금속 등 국제 원자재 가격이 폭등한 데다가 강만수 경제팀의 '수출 드라이브' 정책에 따른 원화 환율 폭등이 가세하면서, 음식료품 및 담배, 석유제품, 화학제품, 금속 1차 제품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2.3% 올랐다.
특히 음식료품 가운데는 밀가루값 폭등으로 비스킷(24.7%), 스낵과자(8.7%), 라면(3.6%) 등 가공식품과 배합사료(2.1%)의 오름 폭이 컸다.
석유제품은 경유(5.0%), 등유(10.4%) 가격이 크게 뛰었다. 특히 서민들의 사용도가 높은 등유값이 폭등, 서민들의 등허리를 한층 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자물가 폭등은 일정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 폭등으로 이어져, 3.9%까지 급등한 소비자물가가 곧 4%대까지 오르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이처럼 물가대란이 발발함에 따라 이명박 대통령의 내수 진작 지시에도, 한국은행이 오는 10일 금통위에서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낮아진 게 아니냐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어 한은의 선택이 주목된다.
한국은행은 9일 3월 생산자물가 지수가 작년 같은 달에 비해 8% 상승해 1998년 11월 11.0%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고 발표했다.
전년 동월 대비 생산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8월 1.7%, 9월 2.1%, 10월 3.4%, 11월 4.4%, 12월 5.1%, 올해 1월 5.9%, 2월 6.8% 등으로 나날이 오름 폭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전월 대비 상승률도 1.7%를 나타내 1998년 2월 2.4% 이후로 가장 높았다.
생산자물가가 급등한 것은 사료값 폭등으로 축산물 값이 급등하고, 공산품과 서비스 가격 등 대부분 품목이 큰 폭으로 올랐기 때문이다.
쇠고기 값의 경우 전월 대비 4.1% 내렸으나 돼지고기 값이 14.8%나 뛰었고 계란도 6.3%나 올랐다. 공산품의 경우 원유, 곡물, 비철금속 등 국제 원자재 가격이 폭등한 데다가 강만수 경제팀의 '수출 드라이브' 정책에 따른 원화 환율 폭등이 가세하면서, 음식료품 및 담배, 석유제품, 화학제품, 금속 1차 제품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2.3% 올랐다.
특히 음식료품 가운데는 밀가루값 폭등으로 비스킷(24.7%), 스낵과자(8.7%), 라면(3.6%) 등 가공식품과 배합사료(2.1%)의 오름 폭이 컸다.
석유제품은 경유(5.0%), 등유(10.4%) 가격이 크게 뛰었다. 특히 서민들의 사용도가 높은 등유값이 폭등, 서민들의 등허리를 한층 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자물가 폭등은 일정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 폭등으로 이어져, 3.9%까지 급등한 소비자물가가 곧 4%대까지 오르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이처럼 물가대란이 발발함에 따라 이명박 대통령의 내수 진작 지시에도, 한국은행이 오는 10일 금통위에서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낮아진 게 아니냐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어 한은의 선택이 주목된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