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한국 내년성장률 4.2%→1.5% 대폭하향"
U 또는 L자형 불황 장기화시 정치-사회불안 심화 우려
국제통화기금(IMF)이 내년 한국 경제의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의 4.2%에서 1.5%로 대폭 낮췄다.
IMF는 22일 발표한 <세계 경제전망>에서 한국의 올해 성장률은 지난 1월 예상했던 -4%로 유지했지만 내년 전망치의 경우 종전 4.2%에서 1.5%로 하향 조정했다. 내년 수정 하락폭 2.7%포인트는 주요국 중 가장 낙폭이 큰 수치로, 한국경제가 내년에도 큰 어려움을 겪을 것이란 의미다.
이는 또한 내년에 한국경제가 가장 빠르게 회복될 것이라는 이명박 대통령의 주장과는 달리 한국경제가 U자형이나 L자형의 장기침체의 늪에 빠질 것이란 의미여서, 한차례 논란이 뒤따를 전망이다.
또한 올해 -4% 성장에 이어 내년에 1.5% 성장에 그칠 경우 이는 내년에 경기가 소폭 회복 기미를 보이더라도 세계금융위기 발발 이전의 수준으로 복귀하지 못한다는 의미에서 경제고통 장기화에 따른 사회-정치적 불안도 우려된다.
IMF는 한국의 물가 상승률은 올해 1.7%, 내년 3.0%로,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국내총생산(GDP) 대비로 올해는 2.9%, 내년엔 3.0% 수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IMF는 올해와 내년의 세계경제 성장률도 1월 기준 전망치인 0.5%, 3.0%에서 -1.3%, 1.9%로 낮췄다. 이는 한달전인 지난 3월 전망치인 -1.0~-0.5%, 1.5~2.5%보다도 낮아진 것으로 세계경제 침체가 날로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권역별로는 미국이 올해와 내년에 -1.6%와 1.6%에서 -2.8%와 0%로 내린 것을 비롯해 ▲유로 -2.0%, 0.2%에서 -4.2%, -0.4%로 ▲아시아 신흥4국 -3.9% 3.1%에서 -5.6% 0.8%로 각각 낮아졌다. 또한 ▲일본은 -2.6%와 0.6%에서 -6.2%와 0.5%로 ▲중국 6.7% 8.0%에서 6.5% 7.5%로 ▲홍콩 -2.0% 2.5%에서 -4.5% 0.5%로 ▲싱가포르 -4.9% 1.9%에서 -10.0% -0.1%로 ▲대만 -4.0% 1.8%에서 -7.5% 0%로 각각 하향 조정됐다.
서방 선진국은 할 것도 없고 중국 경제도 올해 경착륙하면서 세계경제 침체가 더욱 심화-장기화할 것이란 비관적 전망이다.
유병규 현대경제연구원 상무는 이와 관련, "지금은 환율이 워낙 절하된 데다가 정부가 초저금리 정책까지 펼치고 있어 수출 등이 호조를 보이면서 상대적으로 고통을 덜 느끼고 있으나 환율 등이 제자리를 찾아가면서 마취에서 깨어나면 고통의 강도가 심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어 "지금 주가가 급등하고 부동산값이 꿈틀대고 있으나 이는 800조원의 유동성 자금에 따른 일시적 현상으로, 응급실에 실려온 환자가 긴급처방을 받은 뒤 마치 병이 다 나은 것처럼 착각에 빠져 움직이려 하는 모양새"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그는 또 "주가가 뛰면 기업의 자금 조달 등에 도움이 될 수 있으나, 부동산값이 뛰면 불로소득에 따른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계층간 적대감이 심화되고 정치적 불안도 초래할 위험성이 크다"며 철저한 부동산 안정대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IMF는 22일 발표한 <세계 경제전망>에서 한국의 올해 성장률은 지난 1월 예상했던 -4%로 유지했지만 내년 전망치의 경우 종전 4.2%에서 1.5%로 하향 조정했다. 내년 수정 하락폭 2.7%포인트는 주요국 중 가장 낙폭이 큰 수치로, 한국경제가 내년에도 큰 어려움을 겪을 것이란 의미다.
이는 또한 내년에 한국경제가 가장 빠르게 회복될 것이라는 이명박 대통령의 주장과는 달리 한국경제가 U자형이나 L자형의 장기침체의 늪에 빠질 것이란 의미여서, 한차례 논란이 뒤따를 전망이다.
또한 올해 -4% 성장에 이어 내년에 1.5% 성장에 그칠 경우 이는 내년에 경기가 소폭 회복 기미를 보이더라도 세계금융위기 발발 이전의 수준으로 복귀하지 못한다는 의미에서 경제고통 장기화에 따른 사회-정치적 불안도 우려된다.
IMF는 한국의 물가 상승률은 올해 1.7%, 내년 3.0%로,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국내총생산(GDP) 대비로 올해는 2.9%, 내년엔 3.0% 수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IMF는 올해와 내년의 세계경제 성장률도 1월 기준 전망치인 0.5%, 3.0%에서 -1.3%, 1.9%로 낮췄다. 이는 한달전인 지난 3월 전망치인 -1.0~-0.5%, 1.5~2.5%보다도 낮아진 것으로 세계경제 침체가 날로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권역별로는 미국이 올해와 내년에 -1.6%와 1.6%에서 -2.8%와 0%로 내린 것을 비롯해 ▲유로 -2.0%, 0.2%에서 -4.2%, -0.4%로 ▲아시아 신흥4국 -3.9% 3.1%에서 -5.6% 0.8%로 각각 낮아졌다. 또한 ▲일본은 -2.6%와 0.6%에서 -6.2%와 0.5%로 ▲중국 6.7% 8.0%에서 6.5% 7.5%로 ▲홍콩 -2.0% 2.5%에서 -4.5% 0.5%로 ▲싱가포르 -4.9% 1.9%에서 -10.0% -0.1%로 ▲대만 -4.0% 1.8%에서 -7.5% 0%로 각각 하향 조정됐다.
서방 선진국은 할 것도 없고 중국 경제도 올해 경착륙하면서 세계경제 침체가 더욱 심화-장기화할 것이란 비관적 전망이다.
유병규 현대경제연구원 상무는 이와 관련, "지금은 환율이 워낙 절하된 데다가 정부가 초저금리 정책까지 펼치고 있어 수출 등이 호조를 보이면서 상대적으로 고통을 덜 느끼고 있으나 환율 등이 제자리를 찾아가면서 마취에서 깨어나면 고통의 강도가 심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어 "지금 주가가 급등하고 부동산값이 꿈틀대고 있으나 이는 800조원의 유동성 자금에 따른 일시적 현상으로, 응급실에 실려온 환자가 긴급처방을 받은 뒤 마치 병이 다 나은 것처럼 착각에 빠져 움직이려 하는 모양새"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그는 또 "주가가 뛰면 기업의 자금 조달 등에 도움이 될 수 있으나, 부동산값이 뛰면 불로소득에 따른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계층간 적대감이 심화되고 정치적 불안도 초래할 위험성이 크다"며 철저한 부동산 안정대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