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명진 "수도분할 중단해 '盧 대못' 뽑아버려야"
"대안 내는 것 정치인 아닌 정부 역할" 주장했다가 핀잔 받기도
친이계 차명진 한나라당 의원이 10일 정부기관의 세종시 이전을 노무현 전 대통령이 박은 대못으로 규정하면서 이명박 정부를 뽑은 '국민의 뜻'에 따라 차제에 완전히 뽑아 버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차명진 의원은 이날 불교방송 '김재원의 아침저널'과의 인터뷰에서 앞서 한나라당이 세종시법에 동의한 이유와 관련, "과거에 노무현 정부가 행정기관을 전부다 연기로 옮겨서 그야말로 큰일날 일을 저지르려고 했을 때 당시에 한나라당 지도부가 전부 망하느냐 아니면 부분적으로라도 살리느냐 해서 수도분할에 도입식 계획으로 합의해 준 것...이런 사정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해명했다.
차 의원은 이어 "그러나 문제는 그렇다 하더라도 이제 국민들이 정부를 바꿨다, 노무현 정부가 박아 놓은 대못을 뽑으라고"라며 "그러면 그런 차원에서 대못을 뽑으라고 바꿔준 국민의 뜻에 부응하기 위해서 우리가 완전히 뽑아버리는, 수도분할을 그만하는 지혜가 필요하지 않을까"라고 주장했다. 그는 거듭 "대못을 뽑으라고 정권이 바뀌었으니까.. 아예 뽑아버리는 것은 그 당시 연장선상에서 충분히 할 수 있다... 이런 생각 하고 있다"며 세종시 백지화가 이명박 대통령을 뽑은 국민의 뜻임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그러나 세종시 백지화후 대안이 뭐냐는 질문에 대해 "나는 애초에 문제를 제기하면서도 너의 대안은 무엇이냐, 끊임없이 스스로 자문을 해왔지만...나는 이런 생각이 든다. 정치인으로서 문제제기를 하는 것은 내 역할이고 대안 마련은 내 역할이 아니다, 정부가 내는 것을 보자 그런 생각이 들었다"며 대안을 만드는 것은 '정부 몫'이라고 주장했다.
그러자 진행자는 "여당의원은요 대안까지 내야해요, 야당하고 달리"라고 일침을 가했다.
한편 차 의원은 세종시를 둘러싼 친이-친박 극한 대립과 관련해선 "앞으로 대권까지 가는 과정에서 나는 세종시보다 더 심각하고 중요한 문제는 100개는 더 있다고 본다"며 "그래서 이 문제로 그 누구든 단기간에 사생결단을 내는 것은 맞지 않고, 그래서 가능한 이 문제에 대한 비중을 너무 과대하게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며 확전 중단을 주장했다.
차명진 의원은 이날 불교방송 '김재원의 아침저널'과의 인터뷰에서 앞서 한나라당이 세종시법에 동의한 이유와 관련, "과거에 노무현 정부가 행정기관을 전부다 연기로 옮겨서 그야말로 큰일날 일을 저지르려고 했을 때 당시에 한나라당 지도부가 전부 망하느냐 아니면 부분적으로라도 살리느냐 해서 수도분할에 도입식 계획으로 합의해 준 것...이런 사정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해명했다.
차 의원은 이어 "그러나 문제는 그렇다 하더라도 이제 국민들이 정부를 바꿨다, 노무현 정부가 박아 놓은 대못을 뽑으라고"라며 "그러면 그런 차원에서 대못을 뽑으라고 바꿔준 국민의 뜻에 부응하기 위해서 우리가 완전히 뽑아버리는, 수도분할을 그만하는 지혜가 필요하지 않을까"라고 주장했다. 그는 거듭 "대못을 뽑으라고 정권이 바뀌었으니까.. 아예 뽑아버리는 것은 그 당시 연장선상에서 충분히 할 수 있다... 이런 생각 하고 있다"며 세종시 백지화가 이명박 대통령을 뽑은 국민의 뜻임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그러나 세종시 백지화후 대안이 뭐냐는 질문에 대해 "나는 애초에 문제를 제기하면서도 너의 대안은 무엇이냐, 끊임없이 스스로 자문을 해왔지만...나는 이런 생각이 든다. 정치인으로서 문제제기를 하는 것은 내 역할이고 대안 마련은 내 역할이 아니다, 정부가 내는 것을 보자 그런 생각이 들었다"며 대안을 만드는 것은 '정부 몫'이라고 주장했다.
그러자 진행자는 "여당의원은요 대안까지 내야해요, 야당하고 달리"라고 일침을 가했다.
한편 차 의원은 세종시를 둘러싼 친이-친박 극한 대립과 관련해선 "앞으로 대권까지 가는 과정에서 나는 세종시보다 더 심각하고 중요한 문제는 100개는 더 있다고 본다"며 "그래서 이 문제로 그 누구든 단기간에 사생결단을 내는 것은 맞지 않고, 그래서 가능한 이 문제에 대한 비중을 너무 과대하게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며 확전 중단을 주장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